등록 : 2011.01.13 15:17
수정 : 2011.01.16 14:35
|
북하우스 제공
|
[매거진 esc]
달빛요정 유고: ‘도토리’에 대해서
도토리. 싸이월드 엿먹으라고 만든 곡.
에스케이(SK)에서 인수하기 전에 가입했다가 별 재미 없어서 내버려두고 있다가 싸이월드가 한창 유행일 때 들어가서 ‘친구찾기’ 기능으로 타고 들어온 국민학교, 중학교 시절의 옛 친구들이랑 글 좀 교환하다가 그 좁은 화면에 질려서 또다시 방치. 공식 홈페이지보다 싸이월드 클럽이나 일촌관계를 더 선호하는 사람들이 있는 것 같아서 사진 퍼가라고(홍보의 수단이 이런 거밖에 없다니, 참으로 가슴 아프도다) 또 몇 번 관리하다가 요새는 귀찮아서 그냥 내버려두고 있는 그곳, 혹은 그 짓거리. 과시욕과 관음증이 서로 반응하며 공존하는 곳.
싸이질은 거의 하지 않지만 싸이월드를 통해 탄생한 수많은 된장녀와 허세남들의 자폭 인증은 참으로 많이 보았다. 내 노래가 그런 욕망의 공간에 배경음악으로 사용된다는 게 이상하기도 하고 고맙기도 하다. 뭐, 어쨌든 내 노래가 널리 퍼지면 좋은 일이다. 나는 이런 신기한 음악도 듣는다는 문화적 우월감을 과시하기 위함일지라도 나쁘지 않다. 문제는 그게 하나도 고맙지 않게 느껴진다는 것.
요새는 얼마인지 모르겠지만 싸이월드에서 노래 한 곡을 500원에 구입했다고 치자. 일단 수입의 반은 에스케이가 먹는다. 250원이 남는다. 이 250원을 싸이월드에 음원을 납품한 디지털 음원 유통회사와 5 대 5 정도의 조건으로 나눠 먹는다(그나마 이건 좋은 조건). 그러면 125원이 남는다. 본인이 직접 제작했을 경우에는 이걸 다 먹을 수 있다. 그러나 보통은 제작자가 절반 이상을 가져간다. 좋은 조건으로 계약해 5 대 5의 분배조건을 갖는다 하더라도 75원. 여기서 또 도대체 뭘 관리해주는지 알 수 없는 저작권협회에서 관리수수료 명목으로 9퍼센트를 떼어간다. 70원도 안 되는 금액이 저작권자에게 돌아간다. 그나마 이건 작사와 작곡을 같이 할 경우. 두 사람에게 나눠진다면 35원씩 받게 된다. 만약 밴드음악이라면 더 끔찍하다. 밴드멤버 4명이 공동으로 작사, 작곡에 참여했다면 한 곡당 20원도 못 받게 되는 이런 말도 안 되는 수익분배 구조. 참고로 외국의 대표적인 음원서비스인 아이튠스(itunes)에서는 서비스 제공업체인 애플(Apple)이 30퍼센트를 가져간다고 한다. 이것도 많이 먹는다고 뮤지션들과 끊임없이 싸우고 있다.
대한민국에서 인간의 권리를 찾는 건 어려운 일이다. 나는 대한민국의 국민이 되기 위한 국민학교를 나왔으니까. 인간이 되기 위한 초등학교를 나온 어린 분들이여, 당신들은 부디 파이팅! 세상에서 제일 듣기 싫은 게 사내새끼 죽는소리라는데 당신들은 죽는소리 안 해도 행복할 수 있는 세상이 오기를 요정은 기원합니다. 이것은 요정의 축복! 정의의 이름으로 너를 용서하지 않겠다! 새로운 세상이여, 열려라!
|
‘달빛요정’ 고 이진원씨의 유고 ‘도토리에 대해서’와 관련해, SK커뮤니케이션스 싸이월드는 13일 음원 수익배분율은 50대 50이 많지만 달빛요정의 경우 40(싸이월드 쪽)대 60의 비율이 적용됐다고 밝혀왔습니다. 아울러 다른 음원판매 회사가 ‘100곡에 1만원, 한달에 4500원’ 등으로 덤핑판매하는 것에 견줘, 싸이월드는 음악인들에게 돌아가는 수익률이 가장 높다고도 전해왔습니다. 디지털 음원 수익분배에 대해 더 자세한 사항은 지난해 11월9일치 <한겨레>에 실린 서정민 기자의 기사 <‘달빛요정’의 외로운 죽음 뒤엔…음악인 피말리는 디지털 음원 시장이 있었다>(www.hani.co.kr/arti/culture/music/447790.html)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김진철 기자 nowhere@hani.co.kr
|
|
|
이 노래에서 가장 맘에 드는 노랫말인 ‘벗으라면 벗겠어요’는 오래전에 심하게 열중해서 보았던 드라마 <발리에서 생긴 일>에 나오는 신이의 대사에서 따왔다. 물론 더 오래전부터 한국 에로영화에서 가끔 들었던 대사이다. 어디에서 들었던 것 같은 ‘나는 무겁고 안 예쁘니까’는 김태희가 나왔던 싸이언 시에프(CF)에서 따온 것이다. 그 시에프를 기억하는 사람이 있으려나. 어쨌든, 카피 만든 분께 경의를 표한다.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