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겨레 자료사진
|
[매거진 esc] 커버스토리
‘김장’이라는 단어를 보자마자 숨이 턱 막히고, 뒷목이 뻐근하다면? 하지만 부지런히 정보를 뒤져보면, 김장 스트레스는 싸~악! 재미와 추억은 와우~! 이렇게 해 줄 ‘김치 놀이터’가 즐비하다. 올해는 주방을 떠나 나들이하듯 김치박물관, 농촌 등으로 떠나 김장 해결에 나서보는 건 어떨지.김성환 기자 hwany@hani.co.kr
배우고 맛보고 → 광주김치타운은 최근 ‘김치의 성지’로 떠오르고 있다. 지난해 광주광역시 임암동에 문을 연 국내 최대 규모의 김치 문화체험형 테마파크로, 팔도 김치 모형과 김치 역사 등을 전시해 놓은 김치박물관이 있다. 체험장에서는 가족끼리 김치를 담그고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한 김치주스·김치전 만들기 체험도 할 수 있다. (062)672-8890.
서울에는 풀무원이 삼성동 코엑스에 운영하는 김치박물관이 있다. 다양한 김치 모형부터 김칫독, 그리고 김치 관련 서적과 논문까지 볼 수 있다. 이달에는 매주 일요일 어린이를 위한 ‘깍두기 담기’ 행사가 열린다. 누리집(kimchimuseum.co.kr)이나 전화 (02)6002-6456으로 신청을 받는다. 지난해 말 서울 운현동에 문을 연 김치월드는 대상에프앤에프(FNF)의 김치 브랜드인 ‘종가집’이 외국인 등 관광객을 대상으로 운영하는 김치문화 체험공간이다. 예약을 하면, 보쌈김치와 김치전 등을 직접 만들어볼 수 있다. (02)3290-8801.
|
한살림 제공
|
이번달부터 연말까지 경기 양평군의 농촌체험마을 7곳이 함께 여는 양평 김장체험 축제양평 김장체험 축제에서는 체험마을에서 난 배추와 김장 재료로 직접 김치를 담글 수 있다. 1인당 참가비 2만원을 내면 김장 2㎏과 점심식사를 제공하며, 5㎏(2만원) 단위로 김치를 추가할 수 있다. 인절미 만들기, 고구마 먹기 등 농촌체험 프로그램도 할 수 있다. ‘양평농촌나드리’ 누리집(ypnadri.com)이나 전화 (031)774-5427로 신청. 동원에프앤비(F&B)도 다음달 16일까지 충북 진천군 김치공장에서 김치를 담그는 양반 김장투어를 연다. 참가비는 8만원.(김장김치 10㎏·겉절이 1㎏ 재료비와 교통비 포함) 누리집(dw.co.kr)이나 전화 (080)589-3385에서 신청.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