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백두대간 조령3관문~하늘재 사이의 마패봉에서. 뒷줄 왼쪽부터 권경옥, 김순주, 유명희, 정명숙, 앞줄은 곽명옥, 손승주씨. 손승주 제공
|
한국 여성 최초로 에베레스트 올랐다가 뿔뿔이 흩어진
이들이 다시 뭉쳐 백두대간 종주하는 이유
1993년 등반때 평균나이 27연맹과 갈등 내부 불화로
멀어졌다 마흔일곱 돼 해후 ‘언니 산악인’들이 지난 15~16일 이틀에 걸쳐 이화령~조령 3관문~하늘재를 이었다. 매월 둘쨋주 토~일에 이어나가는 백두대간 종주다. 2월 지리산 끝자락인 여원재에서 시작해 11번째이니 마라톤으로 치면 반환점쯤 이른 셈이다. 이들은 1993년 5월10일 지현옥, 최오순, 김순주씨를 에베레스트 정상에 올려보내 한국 여성의 존재를 만방에 알린 한국히말라야여성등반대다. 하얀 산이 좋아 하얀 산을 오르다 죽어도 행복하겠다던 평균 나이 스물일곱 산처녀들은 마흔일곱 아줌마가 됐다. 백두대간 종주는 2013년 에베레스트 등반 20돌을 기념하기 위한 의식이다. 보통 몇 주년 기념이면 하룻밤 케이크 불이나 끄고, 술 한잔 마시면 그만인데, 산악인이었다고 하니 그럴 법하다. 하지만 이들이 등반 성공 뒤 뿔뿔이 흩어진 이래 20년 만에 처음 모였다니 사연이 있을 법하다. 무엇이 이들을 20년 만에 불러모으고, 무엇이 이들을 이태에 걸쳐 길고 긴 ‘동창회’를 하게 만들었을까. 한마디로 줄이면 상처뿐인 영광. 본디 에베레스트 얘기가 나온 것은 정명숙, 곽명옥, 남난희씨. 남성판인 산악계에서 한창 물이 오른 이들은 여성들끼리도 할 수 있다는 자신이 있었다. 문제는 돈. <이마운틴> 남선우씨가 대한산악연맹과 연결해 주었다. 연맹에서는 아이디어를 수용해 제반 경비를 대주기로 하고 대원 선발과 등반훈련, 히말라야 원정 등 모든 행정과 실행을 떠맡았다. 전국에서 70여명의 ‘선수’들을 뽑아 올렸다. 5~6명으로 한 조를 편성해 남자 강사가 한명씩 붙어 설악산 등지에서 지옥훈련을 시켰다. 대장 지현옥, 부대장 정명숙, 대원으로 곽명옥, 이영순, 오은선, 권경옥, 임희재, 강인숙, 유명희, 손승주, 정건, 최오순, 박금옥, 김순주씨 등 14명의 팀이 최종 결성됐다. . 당시 훈련대장을 맡았던 산악인 장봉완(현 한국등산학교 교장)씨는 “남자들도 어렵다는 에베레스트에 도전하는 만큼 이들 스스로 정상에 오를 수 있도록 겨울철 설악산을 중심으로 어려운 코스를 골라서 수없이 반복훈련을 시켰다”고 회고했다. 연맹 쪽과는 늘 삐걱거렸다. 팀 구성이 될 무렵 바뀐 회장단은 비산악인으로 사사건건 개입했다. 대원들은 위원회가 열리는 사무실 문 앞에서 안건이 무사히 통과되기를 기다리는 날이 잦았다. 대원들에게 연맹은 적이 되어버렸고, 그들은 남성이었다. 선발된 14인은 40일간 자체적인 합숙훈련과 해외 원정을 했다. 누가 산에 오를 것인가를 결정하는 단계. 대장과 부대장이 조련사가 됐다. 대원들은 조련사 앞을 지날 때면 숨을 죽였다. 헐떡이는 모양을 보이면 눈 밖에 날까 봐서다. 먼저 목적지에 이르면 도로 내려가 대장의 배낭을 받아오는 것은 예의였다. 조련사들은 팀원을 성과 이름, 풀네임으로 부르고 이들이 하는 말은 법이었다. 대장은 명령하고 대원들은 듣고 따랐다. 혹시 대원 가운데 누군가 말을 꺼내려는 기미가 보이면 무릎을 쿡쿡 쳐 말렸다. 말해봤자 씨알도 먹히지 않음을 알기 때문. 팀원들에게 대장과 부대장은 ‘그들’이었다. 우리 안의 적. 군대처럼 주민등록상 생일순으로 1번부터 14번까지 서열이 매겨졌다. 후원사인 코오롱에서 제공한 공용, 개인 등산장비에도 그 번호를 썼다. 속옷까지 똑같은 옷을 입은 이들은 자신의 것을 구별하기 위해 어쩔 수 없었다. 3년에 걸친 훈련 끝에 이들은 여전사가 됐고, 서울, 대구, 제주, 전남, 수원, 경남, 경북지부, 대학산악부 등 출신이 다른 이들의 팔도 사투리는 자연스럽게 뒤섞였다. 11차례 산에 오르면서
원정에 대한 기억 맞추며
서로에게 새겨진 상처 보듬어 꿈에 그리던 히말라야 원정. 카트만두에 미리 나간 선발대에 대장과 부대장 해임 통지가 날아들었다. 연맹과 껄끄러워 국내에서 한차례 해임소동을 벌였던 집행부가 이들을 제거하기로 했던 것. 대원들은 연맹과 연을 끊고 자비로라도 등반을 하겠다고 강경하게 맞서 해임을 철회시켰다. 대원들이 합류하고 캠프를 차렸다. 현지 적응이 끝나고 정상 공격. 첫 도전은 지현옥, 김순주씨, 두번째는 김순주씨 단독. 모두 실패했다. 세번째로 도전한 지현옥, 김순주, 최오순씨가 정상을 밟았다.
|
1993년 히말라야 등정 때의 여성등반대. 손승주 제공
|
|
이화령~조령3관문 사이의 암릉 구간. 손승주 제공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