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민족 정통 검술인 조선세법을 복원한 김재일씨가 70대 중반의 나이임에도 정밀하고 세밀한 검법을 기운차게 시연해 보이고 있다.
|
[건강과 삶] 조선세법(朝鮮勢法) 되살린 김재일 검객
칼끝이 지면을 향한다. 동작이 정지된다. 한동안 정적이 흐른 뒤 칼끝을 지면을 향해 빙글빙글 돌리며 뒷걸음친다. 언뜻 보면 춤추는 모양이다. 부드럽고 유연한 몸동작이다. 백사농풍세(白蛇弄風勢)이다. 마치 흰 뱀이 독기 오른 눈으로 머리를 곧추세우고 상대의 빈틈을 노리며 가볍게 좌우로 머리를 흔들고 있고, 상대는 그런 백사를 희롱하듯 어르면서 조용히 공격의 기회를 노리는 형세이다. 뒷걸음치던 검객은 곧바로 반격에 나선다. 표범 머리를 힘차게 내려치는 표두세(豹頭勢)이다. “긴 창을 가진 상대방을 다루는 검술입니다. 창끝을 땅에서 뜨지 않게 견제하면서 제압합니다.” 설명을 들으니 칼끝을 낮추고 춤추듯 뒷걸음치는 동작이 이해된다. 검객의 코와 턱에서 굵은 땀방울이 뚝뚝 떨어진다. 동작은 과격하고 빠르지 않으나 품고 있는 공력은 헤아리기 힘들다. 세밀한 몸동작이 무술의 깊이를 더한다. 여선참사세(呂仙斬蛇勢). 왼손으로 허리를 고이고 오른손으로 비스듬히 칼 허리를 잡아 공중을 향하여 한길 남짓한 높이로 던진다. 칼등이 원을 그리며 굴러떨어지면 가만히 한걸음 나가서 손으로 받아든다. 이어지는 양각조천세(羊角弔天勢). 꿇어앉아 오른손으로 칼자루를 잡아 칼등을 비스듬히 왼손 첫째 손가락에 기대고, 오른손으로 조심스럽게 칼 머리를 튕긴다. 칼자루는 손가락을 둘러싸고 둥글게 굴러서 무명지 손가락 사이에 와서 그친다.
한민족 전통의 검술로 알려진 조선세법(朝鮮勢法)의 정밀한 동작들이다. 놀랍게도 그동안 문헌으로만 알려진 조선세법을 복원한 검객은 김재일(75)씨. 그는 62년 동안 일본이 정리한 검술인 검도를 익히며 ‘검신’(劍神)의 경지인 검도 8단에 오른 원로 검도인이다. 13살 때 대구 경찰학교에서 선배 검도인들이 검도를 하는 것을 보고, 검도에 입문한 김씨는 고등학교 시절 최초로 전국체전을 2연패 했다. 대구대(현 영남대) 검도부에 들어가 전국체전 검도부에서 우승한 그는 1967년 최초의 국가대표 검도 선수로 뽑혀 12년간 국가대표로 활약했다. 김씨는 경희대와 부천시청 감독을 역임하며 수십 차례 단체전과 개인전 우승을 일궈냈던 정통 검도인이다. 애마를 벤 김유신 일화에서 착안
검을 치면서 동시에 깎는 검법
고문서 뒤진 끝에 400년만에 복원
검도 8단의 고수 ‘활인 검법’ 전환
70대 나이에 눈빛만으로 상대 제압
|
김재일씨
|
|
조선세법 복원한 김재일 씨
|
|
조선세법 복원한 김재일 씨
|
|
조선세법 복원한 김재일 씨
|
|
조선세법 복원한 김재일 씨
|
|
조선세법 복원한 김재일 씨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