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날이 더워지면서 평양냉면을 찾는 이들이 늘고 있다. 박미향 기자
|
[ESC] 커버스토리│냉면
|
날이 더워지면서 평양냉면을 찾는 이들이 늘고 있다. 박미향 기자
|
|
아, 이 반가운 것은 무엇인가
이 히수무레하고 부드럽고 수수하고 ( )것은 무엇인가
겨울밤 쩡하니 닉은 동티미국을 좋아하고 얼얼한 댕추가루를 좋아하고 싱싱한 산꿩의 고기를 좋아하고 그리고 담배 내음새 탄수 내음새 또 수육을 삶는 육수국 내음새 자욱한 더북한 삿방 쩔쩔 끓는 아르을 좋아하는 이것은 무엇인가
이 조용한 마을과 이 마을의 으젓한 사람들과 살틀하니 친한 것은 무엇인가
① 기묘한 ② 화끈한 ③ 슴슴한 ④ 사소한 ⑤ 북한
|
“랭면 국물 맛이 변하지 않았어요? 맛내기를 너무 많이 친 것 같애.”
“연화는 이 세상에서 제일 통쾌한 처녑니다. 성격도 얼굴도 ( )처럼 쩡하고 시원해서”
국경의 남쪽 스틸컷 삽입 <국경의 남쪽>(2006) (출처: 다음영화)
① 다대기 ② 겨자 ③ 참깨 ④ 설탕 ⑤ 인공조미료
① 가자미 ② 김수미 ③ 골계미 ④ 동치미 ⑤ 길태미
얼음 공장이 생기면서 냉면은 겨울만 아니라, 사시사철 먹을 수 있는 음식이 되었다. 1929년 12월1일에 발간된 <별건곤>4-7에는 ‘김소저’란 필명으로 ‘사시명물(四時名物) 평양냉면(平壤冷麵)’이란 글이 실렸을 정도다. 당시 서울의 냉면집 밖에는 ( )이/가 휘날리고 있었다. 이와 같은 선전 방식은 서울 돈의동의 동양루에서 가장 먼저 시작한 것으로 알려진다. 바람이 불면 마치 수양버들 가지가 흩날리듯 ( )이/가 나부꼈다. (출처: ‘한국민속대백과사전-한국세시풍속사전’ ‘냉면’ 항목)
① 인삼 ② 학 ③ 거북 ④ 맛있게 드시고 건강하세요. ⑤ 乙密臺
① 치자와 된장 육수의 냉면
② 자줏빛 육수의 냉면
③ 볶은 춘장에 비벼 먹는 냉면
④ 먹으면 졸음이 오는 냉면
⑤ 스스로 잘라먹는 냉면
① 흰자 속의 황화수소(H2S)가 노른자의 철(Fe)과 결합해 황화철(FeS)로 변했기 때문이다.
② 껍질의 탄산칼슘(CaCO3)이 노른자의 레티놀과 만나 식용색소청색 제2호가 만들어졌다.
③ 껍질이 흰색인 달걀은 녹변현상이 생기지 않는다.
④ 노른자의 맛과 색이 변하지 않게 하려면 나무칼로 잘라야 한다.
⑤ 흰자가 노른자를 때려서 멍이 들었다.
① 면수 - 메밀 면을 삶은 물
② 거냉 - 육수에서 얼음 뺀 냉면
③ 민짜 - 고명을 빼는 대신 면의 양이 더 많은 냉면
④ 순면 - 100% 메밀로 만든 면
⑤ 선주후면 - 술을 마신 다음 날 면목이 없다
1954년 재일동포 1세인 양용철씨가 고향 함흥에서 먹었던 냉면이 그리워 개발한 냉면이다. 양씨의 냉면집 ‘식도원’은 날로 유명해졌고 그를 따라 ‘명월관’, ‘뿅뿅샤’, ‘세로각’ 등이 생겨났다. 일본 전역에서 맛보러 올 정도로 명물이 됐다. (‘1세대 명가 아성에 도전장 내미는 냉면 맛집들’. <한겨레> ESC 2014년 6월18일치)
함흥에는 함흥냉면이 없다. 이북 출신 원로들의 증언을 들어봐도 과거에 그런 음식 이름은 존재하지 않았다. 북한에서 간행된 <사회주의 생활문화백과>가 꼽은 이름난 조선 음식에도 ‘평양랭면’은 있지만 함흥냉면은 없다. 함경도의 특산음식으로 감자( )와 함흥국수가 나올 뿐이다. 함흥국수는 ‘양념으로 들깨가루를 치고 들기름을 졸여서 두는 것이 특징’이라는 기술로 볼 때 함흥냉면과는 다른 음식이다. 지금 우리가 먹는 함흥냉면과 비슷한 음식으로는 회국수가 수록되어 있다. 함흥냉면은 6·25사변이 만들어낸 호칭이다. 함경도 실향민들이 명성 높은 평양냉면에 대항하기 위해 자신들의 고향 음식에 붙인 이름이다. (‘예종석의 오늘 점심’ <한겨레>2010년 8월29일치)
① 넝마국수 ② 농마국수 ③ 뇨끼 ④ 다오샤오미엔 ⑤ 운센
ⓐ( )냉면의 특징은 고기국물에다 디포리, 홍합, 새우, 황태 등으로 끓인 ⓑ( )장국을 섞은 혼합 육수에 있다. 비린내를 없애기 위해 벌겋게 달군 무쇠막대를 끓는 육수에 넣어 순간가열 시킨 뒤 2주간 숙성시켜서 쓴다. 고명도 평양냉면과는 달리 쇠고기 우둔살에 계란 옷을 입혀 부쳐낸 육전과 채 썬 배추김치 등이 올라간다. (‘예종석의 오늘 점심’ <한겨레>2010년 9월12일치)
① 진주-해물 ② 나주-해물 ③ 전주-패물 ④ 맥주-선물 ⑤ 봉준호-괴물
|
|
|
|
|
|
평양냉면
차게 식힌 국물에 국수를 말아서 먹는 음식. 음력 정월부터 12월까지 세시풍속을 기록한 <동국세시기>에서는 메밀국수를 무김치와 배추김치에 말고 돼지고기를 섞은 냉면(冷?)을 음력 11월의 시절음식으로 소개했다. 냉장기술이 발달한 현재는 사계절을 가리지 않고 냉면을 즐길 수 있다. 4·27 남북정상회담의 만찬메뉴로 등장하며 ‘평양냉면’과 ‘옥류관’이 실시간 검색어에 올랐다.
냉면퀴즈정답
1.③
2.④(핫소스가 아니라 다대기라고 말했다.)
3.⑤
4.④
5.②
6.⑤
7.②
8.①
9.⑤
10.①
11.②
12.①
13.②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