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강남에 위치한 평양냉면집, 경평면옥. 박미향 기자.
|
[ESC] 커버스토리
6곳 강남 평양냉면 탐방, 3곳은 2달 전 문 열어
강북 기반 유명 평냉집 출신 추방장이 여럿
익숙한 맛 느껴지는 한편 차이도 있어
|
서울 강남에 위치한 평양냉면집, 경평면옥. 박미향 기자.
|
|
그윽한 고기 육수 맛, 평양옥 예종석(이하 예) 육수에 고기 향이 많이 난다. 딱 ‘우래옥’ 풍이다. 이 정도면 좋은 편이다. 모양새가 간결하고 오이도 안 들어가고. 배와 무만 있다. 박미향(이하 박) 특유의 진한 고기 향을 꺼리는 사람도 있다. 육수는 괜찮은데, 면이 좀 따로 노는 느낌이다. 고명으로 올라간 고기는 고기대로, 배는 배대로, 무는 무대로 따로 노는 느낌이다. 입 안에서 조화를 이루는 느낌이 조금 부족하다. 국물은 우아하다. 예 그건 아마 요즘 배를 고명으로 올리는 집이 적어서 익숙하지 않아 그럴 수 있다. 조선말의 고종이 즐겨 먹은 냉면엔 배가 올라갔다. 그 점을 염두에 둔 거 같다. 서울 강남구 논현동에 약 2달 전 문을 열었다. 김영규 대표는 ‘우래옥’에서 처음 냉면을 배웠다고 한다. 식당 안에는 ‘순 메밀 100% 맷돌 제분’이라는 표시가 붙어있다. 메밀을 기계화한 맷돌로 갈아 가루로 만들고, 손 반죽을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
서울 강남에 위치한 평양냉면집, 평양옥. 박미향 기자
|
포근한 분위기의 경평면옥 예 여기는 면수(면 삶은 물)를 주네. 들어오자마자 구수한 향이 나서 좋다. 박 식당들은 대부분 1층을 선호한다. 장사하는 처지에선 2층은 손님을 끌어들이기에 좋은 자리는 아니다. 2층인데 그만큼 맛에 자신이 있다는 것으로 해석된다. 제육은 지방과 살코기가 조화롭다. 예 좋은 부위 돼지고기를 쓴 것 같다. 새로 문 연 식당들은 제대로 된 평냉 맛을 내는 데 시간이 좀 걸린다. 분점들도 초창기에는 제 맛을 못 내는 편이다. 문을 연 지 2달 좀 넘었다는데 이 수준이면 괜찮다는 생각이 든다. 경평면옥의 김태권 주방장은 장충동 평양면옥의 논현동 분점에서 17년 동안 일하다 지난 4월에 자신만의 식당을 차렸다고 한다.
|
서울 강남에 위치한 평양냉면집, 경평면옥. 박미향 기자.
|
유명 셰프의 냉면집, 평화옥 <미쉐린가이드>에서 별점 두 개를 받은 ‘정식당’의 임정식 셰프가 지난 2월 인천국제공항 제2여객터미널에 처음 선보인 식당의 서울 분점이다. 지난 5월 서울 강남구 현대백화점 무역센터점 10층 식당가에 2호점인 이 집을 열었다.
|
서울 강남에 위치한 평양냉면집, 평화옥. 박미향 기자
|
두 가지 평냉 맛, 피양옥 지난해 5월 문을 연 피양옥은 안에 제분기가 있다. ‘함흥냉면가루’라고 적힌 포대들이 여러 개가 보인다. 종업원이 제분기에서 메밀가루를 꺼내는 장면도 목격됐다. 차림표엔 ‘피양면’, ‘물냉면’, ‘비빔냉면’이 있다. ‘피양면’과 ‘물냉면’을 주문했다.
|
서울 강남에 위치한 평양냉면집, 피양옥. 박미향 기자
|
|
서울 강남에 위치한 평양냉면집, 피양옥. 제분기를 손님들이 보이는 곳에 배치했다. 박미향 기자
|
가벼운 냉면집, 봉밀가 식당평가서 <2018 미쉐린 가이드> 서울편의 ‘더 플레이트’에 오른 식당이다. 이곳 차림표엔 ‘평양 메밀물국수’라 적혀 있다. 2015년 봄에 문 열었다고 한다. 예 경평면옥처럼 면수가 나온다. 전체적으로 분식점 같다. 면의 식감이 아쉽다. 박 여기는 혼냉(혼자 냉면 먹기)을 하는 사람이 꽤 보인다. 예 냉면은 옛날부터 혼자 먹는 이가 많았다. 평양에서는 ‘물국수’라 한다. 역사가 오래된 냉면집들과는 차이가 있어 보인다.
|
서울 강남에 위치한 메밀물국수를 파는 봉밀가. 박미향 기자.
|
강남냉면전쟁의 출발, 진미평양냉면 2년 전 문 연 진미평양냉면은 강남권 평양냉면 경쟁의 포문을 열다시피 한 곳이다. 이른 저녁 시간인 6시30분에도 본관 자리가 꽥 채워질 정도로 손님이 많았다.
|
서울 강남에 위치한 평양냉면집, 진미평양냉면 박미향 기자.
|
|
평양냉면: 차게 식힌 국물에 국수를 말아서 먹는 음식. 음력 정월부터 12월까지 세시풍속을 기록한 <동국세시기>에서는 메밀국수를 무김치와 배추김치에 말고 돼지고기를 섞은 냉면(冷?)을 음력 11월의 시절음식으로 소개했다. 냉장기술이 발달한 현재는 사계절을 가리지 않고 냉면을 즐길 수 있다. 4·27 남북정상회담의 만찬메뉴로 등장하며 ‘평양냉면’과 ‘옥류관’이 실시간 검색어에 올랐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