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5월6일 지리산 아래 모인 트바움들. 이정연 기자
|
[ESC] 커버스토리 모터바이크
트위터·모터바이크·페미니즘 뜻하는 트바움
비포장길 달리는 8살 라이더
“스쿠터를 타니 모든 일이 용서된다”
낡은 모터바이크에 생명을 불어넣는 그 맛
|
지난 5월6일 지리산 아래 모인 트바움들. 이정연 기자
|
|
모터바이크를 탄다고 하면 항상 편견 섞인 질문들이 쏟아진다. “폭주 뛰니?” “너무 위험한 거 아니야?” “얼마짜린데?” 등등. 일반적인 취미나 이동 수단에 견줘 좋지 않은 선입견이 강한 게 모터바이크다. 이 편견과 선입견에 머무르지 않고 모터바이크가 주는 자유로움을 찾고 느끼는 라이더들이 많다. 성별, 세대를 가리지 않고 모터바이크의 세계에 뛰어든 라이더들을 만나 들어봤다. 당신은 왜 모터바이크를 타는가?_________
트위터에 글 올리고, 바이크타고, 페미니스트인 사람 누구?! ‘트바움’이 있다. 트위터에서 ‘바이크전도사’로 활동하고 있는 배우 김꽃비가 만든 말이다. 말 그대로 만든 말이다. 트위터를 하고, 모터바이크를 타고, 페미니스트인 사람이다. 트, 바까지는 알겠는데 ‘움’은 뭐냐고? ‘움’(Wom)은 페미니즘 소설 <이갈리아의 딸들>에 나온 말이다. 영어의 ‘맨’(Man)이 남자와 더불어 인간 전체를 내세우는 말인 것을 뒤집어 표현한 단어다. ‘움’은 여성을 뜻하고, 책에선 움이 인간 전체를 뜻한다. ‘트바움’은 동호회도, 단체도 아니다. 그러나 ‘트바움’이라는 말이 트위터에서 통용되기 시작하면서, 스스로 트바움이라고 일컫는 이들이 늘어갔다. 바이크를 타는 페미니스트들은 트바움이라는 단어로 ‘연결’되기 시작했다. 바이크의 종류, 성적 지향, 성 정체성, 나이, 직업은 아무런 상관이 없다. 트바움 박미진(20대. 가명)씨는 “개인이 우선이라는 점이 참 좋다. ‘우리는 하나’라는 식으로 각자의 개성과 정체성을 뭉뚱그리지 않는다. 개인 각자를 존중하고, 그게 가장 매력적이다”고 말했다. 이들이 모이는 곳은 종잡을 수 없다. 온라인 동호인 카페의 ‘정모’는 시간과 장소가 공지되기 마련이다. 그런데 트바움은 그런 게 없다. 서로 얼굴도 모른 채 만나, 금세 친해진다. 김지원(30대. 가명)씨는 “트바움은 너무 드문 존재다. 트위터를 하고, 페미니스트인 사람들은 꽤 있다. 여기다 모터바이크라는 취미까지 공유한 사람들은 정말 만나기 힘들었다. 지인들은 ‘위험하다’는 말만 하고… 그러다 만났으니 얼마나 반갑겠느냐, 쉽게 친해질 수밖에 없다”라고 말했다. 이들과 친구가 되고 싶은 예비 트바움들은 트위터에 ‘트바움’을 검색하면 관련 계정들이 주르륵 뜬다. 이들 계정을 팔로우하고, ‘바이크 타고 싶다’라고 쓰면 더 많은 트바움들이 있었으면 하는 이들이 먼저 관심을 표시할 지 모른다.
|
지리산의 한 캠핑장에 모여 모토캠핑을 하는 트바움들. 사진 이준현 제공
|
오프로드 챔피언이 되고 싶은 어린이 라이더 “점프를 할 때 엉덩이를 뒤로 빼고 하면 돼요!” 사진을 먼저 보고 깜짝 놀랐다. 성인이 오프로드(포장되지 않은 험한 길) 모터바이크 경기를 하는 도중에 찍은 사진인 줄 알았다. 그러나 그 사진의 주인공은 신현우(8) 어린이였다. 신현우 어린이가 처음으로 바이크를 탄 건 6살 때부터였다. 자연스럽게 모터바이크를 타게 됐다. 아버지인 신성욱(43)씨가 모터바이크 판매점을 하고, 온로드(포장도로) 모터바이크 레이싱 선수로 활동하고 있는 터다.
|
모토크로스 대회에서 점프를 하는 신현우(8) 어린이. 사진
|
|
KTM 65SX에 앉아있는 신현우(8) 어린이. 사진 손선미 제공
|
최고의 갱년기 치료제, 모터바이크! 배화여자대학교 신계숙(55) 전통조리과 교수는 모터바이크를 탈 생각이 전혀 없었다. 그러다 지난해 5월 동료 교수가 바이크를 타는 걸 보고 처음으로 바이크에 호기심을 느꼈다. “그러다 갱년기가 왔다” 올해 3월이었다. 후끈 열이 오르고, 답답함을 느낄 때가 잦아졌다. 증상에 괴로워하던 어느 날, 자동차에 시동을 걸고 히터를 켜는 순간 동시에 몸에 열이 확 올랐다. “그 순간은 참을 수가 없었다. 그 뒤로 당장 4군데의 모터바이크 판매점을 돌아다녔다.” 주변 사람들은 “이제 타던 차도 운전 그만해야하는 나이가 되어 가는데 무슨 모터바이크야?”라고 핀잔을 줬다. 그러나 신 교수는 “아, 내 인생이 앞으로 나이 때문에 못하는 게 많아지겠구나. 그러면 하루라도 더 빨리 모터바이크를 타야겠다!”라는 결론을 내렸다. 그렇게 해서 지난 3월 마련한 모터바이크는 스쿠터(기어 변속이 없는 모터바이크) 베스파 LX 125다. 중국 요리를 전공하고, 개인 요리스튜디오를 운영하고 있어 장을 볼 일이 많다. 그런 그에게 모터바이크는 최고의 이동 수단이다.
|
스쿠터 시트 앞 공간에 장 바구니를 두고, 취미로 배우는 색소폰의 가방을 맨 신계숙 교수. 이정연 기자
|
|
신계숙 교수. 박미향 기자
|
올드 바이크마니아의 외침, 천천히 안전하게 재미있게! 지난 4월 말 전북 전주에서 5번째 ‘흙먼지레이스’가 열렸다. ‘레이스’가 붙어 뭔가 거창해 보지만, 온라인 공간인 ‘올드바이크 매니아’(올바매) 운영진과 회원들이 알뜰살뜰 꾸며가는 작은 모터바이크 행사다. 말 그대로 모터바이크를 탄 라이더들이 일반 도로가 아닌 비포장 도로에서 ‘흙먼지’를 일으키며 경기를 치른다. 경기마다 배기량 제한이 있기도 하고, 없기도 하다. 달릴 수만 있다면 경기 출전은 누구나 할 수 있다.
|
오래된 바이크들 사이에 선 정득묵씨. 이정연 기자
|
|
전북 전주시에서 열린 5회 흙먼지레이스. 이정연 기자
|
|
모터바이크 두 바퀴에 엔진을 달아 움직이게 한 이동수단. 사륜차(자동차)보다 작고 연비도 좋지만, 도로 위에서는 무시·위협당하기 다반사다. 그러나 모터바이크 타기에 빠져든 사람들은 헤어 나오질 못함. 여행의 즐거움을 극대화하기도 하는 모터바이크. 모터바이크 웹툰 <로딩>, <100cc>를 그리고 쓴 이지우 작가는 모터바이크 문화 중 ‘모토캠핑’을 최고의 즐거움으로 꼽는다.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