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블랙핑크의 뚜두뚜두 춤을 브로드댄스학원 이지선 강사에게 배우고 있는 이정연 기자. 사진 윤동길(스튜디오 어댑터 실장)
|
커버스토리│아이돌
빌보드 차트 오른 블랙핑크·방탄소년단
이정연 기자·정민석 대학생 교육연수생 따라 해보니
"체력이 중요" "내 목소리가 변했어요"
|
블랙핑크의 뚜두뚜두 춤을 브로드댄스학원 이지선 강사에게 배우고 있는 이정연 기자. 사진 윤동길(스튜디오 어댑터 실장)
|
케이팝(Kpop)과 미국 음악 순위 집계 차트인 빌보드. 어색하지 않은 조합이 됐다. ESC가 들여다 본 아이돌의 세계에서 빼놓을 수 없는 부분이다. 겉핥기에서 벗어나 기자들이 그 세계에 직접 뛰어들었다. 빌보드 차트에 오른 블랙핑크의 ‘뚜두뚜두’의 춤과 방탄소년단의 노래 페이크 러브’를 배워봤다.
■
이정연 기자의 뚜두뚜두 춤 배우기 : 두 번 생각해~, 착각하지 마~
귓가에 떠나질 않는 노래가 됐다. 블랙핑크의 ‘뚜두뚜두’. 6월 말 공개된 뒤 빌보드 차트 ‘핫 100’에 올랐다. 고백하자면 ‘뚜두뚜두~’를 빼고는 가사도, 멜로디도 제대로 몰랐다. 벼락치기 노래 학습에 돌입했다. ‘뚜두뚜두’의 뮤직 비디오를 쉼 없이 돌려보고, 이어폰을 꼽고 무한 반복해 들었다. 몸이 들썩들썩하고, 반복되는 가사(후크)를 흥얼거렸다. ‘이 춤 배우는 거 할 만 하겠다! 진짜 재미있겠다!’ 여러 춤을 배워봤지만, 케이팝 댄스는 첫 도전이었다. 망설여지기보다 설다. 그러나 곧 뚜두뚜두의 이 가사가 나를 울렸다. ‘두 번 생각해~, 착각하지 마~’ 그렇다. 할 만 하겠다는 생각은 나만의 착각이었던 것이다.
지난 11일 오후 서울 마포구 합정동의 ’브로드댄스학원‘을 찾았다. 이곳에서 지난 6월 말 이지선 강사가 뚜두뚜두 안무 완성반을 운영했다는 소식을 듣고 찾아갔다. 1시간30분 동안의 강습이 시작됐다. 8박자 씩 나눠 이지선 강사가 안무를 설명했다. 골반을 오른쪽으로 빼고, 허벅지를 손으로 쓸어내리면서 무릎을 살짝 굽히는 게 거의 두 번째 동작. 수없이 돌려본 블랙핑크의 방송 무대 영상에서 분명히 봤던 동작인데, 거울 속 나의 동작은 그것과 다르다. 달라도 너무 다르다. 단 8박자의 안무를 배우자 설렘은 달아나고, 걱정스러운 마음이 커졌다. ‘괜히 배우겠다고 했나봐. 제 시간에 다 배우지도 못할 것 같은데…’
32박자 정도의 안무를 배운 뒤 노래에 맞춰 춤을 춰봤다. 서너 번 노래 없이 이 강사가 말로 하는 박자에 맞춰 하다 보니 익숙해진 안무였으니, 그나마 할 수 있겠다 싶었다. 이 강사가 음악을 켰다. ‘오, 할 만 하다.’ 그런데 두 번 반복한 뒤 이 이 강사가 말했다. “그럼 속도를 좀 올려볼까요?” ‘???’ 제 속도가 아니었던 것이다. 맨 처음에는 원래 노래 속도의 70% 수준이었던 것이다. 그 속도에 맞췄으니 할 만 할 수 밖에. 제 속도의 85%로 뚜두뚜두를 재생했다. 10분 동안 배웠던 동작은 다 어디가고 허우적거림만 남았다. “잘 하고 계세요.” 좌절하는 내게 이 강사는 말했지만, 나는 안다. 강사의 자질 중에 중요한 것은 동기 부여와 독려라는 것을… 그리고 드디어 제 속도에 맞춰 춤을 췄다. ‘아이돌 여러분, 블랙핑크, 정말 존경해요!’ 속으로 외치며 허우적댔다. 재생속도 85%의 허우적거림은 탈춤 같았다면, 100%의 허우적거림은 개업하는 가게 홍보를 위해 문 앞에 놓는 풍선 인형 같았다.
|
강습은 1시간30분간 거의 쉼없이 이어졌다. 사진 윤동길(스튜디오 어댑터 실장)
|
그 뒤 1시간가량 물도 한 방울 못 마시고 강습에 정신없이 몰입했다. ‘아이돌은 체력이다.’라는 말이 떠올랐다. 준비 운동을 꽤 했다고 생각했는데, 무릎과 허리 관절의 뻑뻑함, 허벅지와 등 근육의 뻐근함이 덮쳐왔다. 부인할 수 없는 몸의 신호였지만, 재미는 커져갔다. 허우적거림이든, 탈춤이든 뚜두뚜두 1절 중 절반가량을 배워 처음부터 노래와 맞춰 춤을 춰보니 그제야 거울 속의 내 모습이 어색하지 않았다. 팔을 크게 휘젓거나, 골반을 이쪽 저쪽으로 크게 돌리며 앉는 몇몇 포인트가 될 법한 동작을 할 때야 ‘아, 저 동작 뚜두뚜두구나’라고 알아볼 정도였지만 말이다.
드디어 후렴구의 ‘뚜두뚜두’ 가사의 동작을 배웠다. 1절의 클라이맥스다. 한 손씩 가슴 앞으로 내민 뒤, 엉덩이와 함께 양팔을 당기는 동작은 ‘뚜두뚜두’ 가사가 나올 때 딱 맞춰 해야 한다. 이 동작이라도 블랙핑크처럼 잘 해보고 싶었다. 손가락까지 힘을 딱 주고, 엉덩이와 팔을 힘껏 튕기고 당겼다. 거울 속 모습은 아주 조금 멋있어 보였다. 그러나 이지선 강사의 동작을 쉼 없이 커닝하느라 눈이 한 쪽으로 쏠린 넙치가 된 기분이었다. 동작에 힘을 딱 준, 넙치가 된 댄서가 탄생하는 순간이었다.
강습 일정을 다 마치고 무한반복 해놓은 뚜두뚜두 노래만 강의실에 울렸다. ‘내가 이 춤을 다시 출 일이 있을까? 재미는 있지만…’ 의기소침해지려는 찰나, 마음에 이 가사가 콕 박혔다. ‘거침없이 직진 굳이 보진 않지 눈치’ 그래, 직진이다! 그 뒤로 3일 간 퇴근 뒤 뚜두뚜두의 춤을 췄다. 반려묘 하모도 신나서 따라 하는 눈치였다. 거실이 신나는 무대가 됐다.
■
정민석 교육생의 페이크 러브 노래 배우기 : ‘오늘만은’ 나도 아이돌이다!
11년 전, 제이와이피(JYP) 엔터테인먼트 오디션에 발을 디뎠던 그 날의 떨림이 아직도 생생하다. 아이돌을 꿈꿨던 15살의 난 어느덧 졸업을 앞둔 대학생이 됐고, 누구나 생각하는 길을 좇다 보니 꿈은 자연스레 흐릿해졌다. 하지만 티브이에 나오는 아이돌을 볼 때면 가끔 이루지 못한 꿈에 대해 아쉬움이 몰려왔다. 화려한 무대는 둘째치더라도 전문적인 장비를 활용해 아이돌 노래를 제대로 해봤으면 하는 생각을 지금도 한다. 간절함은 결국 하늘을 움직인다고 했던가! 내 어릴 적 꿈을 실현해볼 기회가 생겼다. ‘아이돌처럼 노래해보기’ 체험 기사를 쓰게 된 건 순전히 내 강한 염원 때문이라고 한다면 지나친 과장일까!
|
킹 스튜디오에서 방탄소년단의 페이크 러브를 부르고 있는 정민석 교육 연수생. 사진 임경빈(스튜디오 어댑터)
|
서울 신사동에 위치한 킹 스튜디오는 케이팝(KPOP) 가수가 실제 사용하는 녹음실에서 아이돌 앨범을 제작했던 기술진의 도움을 받으며 녹음을 할 수 있는 곳이다. 외국인을 상대로 케이팝 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이 스튜디오는 뮤직비디오도 제작해준다.
지난 12일, 설렘 반 두려움 반으로 스튜디오를 찾았다. 지하 1층에 있는 작업실에 들어선 순간, 큰 화면에 떠 있는 ‘유 캔 비 올소 어 케이-팝 싱어!(You can be also a K-pop singer!. 당신도 케이팝 가수가 될 수 있다.)’라는 말이 눈길을 끌었다. ‘내가 고른 노래, 방탄소년단의 페이크 러브(FAKE LOVE)를 소화할 수 있을까’하는 두려움에 용기를 북돋아 주는 문구였다.
‘잘 할 수 있어! 나도 한때 아이돌을 꿈꾼 사람이잖아’라고 속으로 혼잣말하고 있을 때 조관희 엔지니어가 나타났다. 헛기침하면서 노래 할 준비를 하는데 그가 녹음실 여러 개를 먼저 보여줬다. 벽엔 그와 작업한 내로라하는 가수들의 앨범이 걸려 있었다. “아는 가수가 있느냐?” 퇴근길에 한잔한 아버지의 흥얼거림 속에서 튀어나왔던 가수가 눈에 들어왔지만 알은체를 안 했다. (나는 아이돌이 되고 싶었던 사람이다! 원로 가수는 노 땡큐!) “엔지니어와 충분히 친해져야 더 좋은 성과물이 나온다”는 그에 말에 ‘조 엔지니어는 형이다, 형이다, 형이다’를 속으로 되뇌었다.
녹음실로 발걸음을 옮기자 드라마에서만 봤던 장비와 방음벽이 눈에 들어왔다. 진짜 ‘알엠(RM.랩몬스터)이 된 듯 기분 좋은 착각에 빠졌다. 먼저 ‘페이크 러브’를 들어봤다. 값비싸 보이는 스피커에서 흘러나오는 지민의 소름 돋는 고음은 방송이나 스트리밍 서비스에서 들었던 것과는 달랐다. 환상적인 음률에 부담감이 더 커졌다. 그래도 애써 자신 있게 여느 가수들처럼 헤드셋을 끼고 “아아” 마이크 점검부터 하면서 녹음을 시작했다.
|
노래 연습을 도와준 조관희 엔지니어(사진 오른쪽)와 정민석씨. 사진 임경빈(스튜디오 어댑터)
|
노래의 처음 부분의 박자를 맞추기 위해 신경을 곤두세워야 했다. 반주는 세련된 음률이었다. 그 위에 얹어진 날것의 내 목소리는 신기했다. 낯설고 어색했다. 나 자신이 음치처럼 느껴지기도 했다. 하지만 엔지니어는 “잘한다”고 칭찬을 하며 다독여줬다. 그때부터 긴장감도 점차 사라져갔다.
“숨을 크게 들이마시고 천천히 내뱉으면서...” 실제 보컬 출신이기도 한 그는 나의 불안정한 음정에 조언을 해주며 유연하게 내 성량을 끌어냈다. 극적인 실력 향상은 없었지만, 전보다 호흡이 안정됐고 박자가 딱딱 맞았다.
7명이 함께 부르는 곡의 특성상, 조 엔지니어는 나에게 여러 가지 주문했다. “가성으로 할 수 있어요?” “랩이 너무 정직한데 건방지게 한번 불러볼래요?” 친구들과 노래방에서 쌓았던 실력을 총동원했다. 랩 특유의 박자는 타기 어려웠지만, 열심히 하다 보니 덕분에 내가 부른 노래가 더 맛깔나게 변화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진성에 쌓아 올린 가성은 세련되기까지 했다. 점점 내 목소리에서 지민이 느껴졌다.
녹음이 끝날 무렵, 그는 “마지막 단어를 말할 때 숨을 같이 내뱉어 봐라. 한층 더 멋있어진다”고 말했다. 녹음 초반, 헤드셋에 딱 붙어 마치 얼어붙은 것 같았던 내 손은 온데간데없었다. 이리저리 손짓하며 박자를 타고 있었다.
오로지 내 목소리로만 녹음된 노래를 들으며 지난날 소심하게 꿈꿨던 가수의 꿈을 이룬 듯했다. 노래방에서 발라드만 주구장창 불렀던 나로서는 애창곡 하나가 늘었다. 지금도 길가에 울려 퍼지는 이 노래를 들으면 자신 있게 흥얼거린다. “페이크 러브”
이정연 기자 xingxing@hani.co.kr, 정민석 대학생 교육연수생
아이돌
노래와 춤을 특기로 하는 하이틴 그룹. 10대 청소년이나 청년들이 주요 팬층이다. 연예기획사 오디션을 보고 연습생으로 들어가 혹독한 트레이닝을 거쳐 데뷔한다. 지망생은 100만명 남짓이지만, 그 중 데뷔할 확률은 1%, 성공할 확률은 0.01% 정도라고 한다. 세계적으로 케이팝(KPOP) 열풍을 이끄는 주역이며, 최근 방탄소년단이 한국 가수 최초로 빌보드 음반 차트 1위를 하면서 화제가 됐다. ‘아이돌(idol)’이라는 영어는 원래 ‘신화적인 우상’을 뜻한다.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