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7.07.13 19:49 수정 : 2007.07.13 23:28

SK 한 투수가 2군 경기내용을 기록지에 세밀하게 기록하고 있다. 2군 경기에서는 한국야구위원회 공식기록위원 외 구단기록원이나 전력분석요원이 따로 없어 경기에 출전하지 않는 선수들이 각종 기록을 담당한다.

고된 이 하루, 추억할 때 오겠지…

전기료 아끼려 땡볕아래 경기
컵라면·빵으로 점심 때우고

■ 오전 8시= 두산 2군 선수들이 잠실구장에서 경기도 이천구장으로 출발하는 시간이다. LG는 8시30분 출발. 구리구장은 30분 거리라서 그렇다. 출발시간을 맞추려면 늦어도 오전 6시30분까지는 일어나야 한다. 때문에 전날 친구를 만났거나, 술을 마시면 지각하기 일쑤다. 일반 샐러리맨 생활과 비슷하다. 다른 2군들도 사정은 똑같다. 2군 생활을 오래 하다가 올해야 비로소 빛을 보기 시작한 SK 박재상은 “무엇보다 아침에 일어나는 게 정말 힘들었다”면서 “2군에 계속 있다가 1군에 올라오면 3일 정도는 시차적응이 안된다. 몸은 정말 힘든 데도 오전 6시면 눈이 번쩍 뜨인다”고 했다.

■ 오전 10시 =가볍게 몸을 푼 뒤 본격적인 훈련이 시작된다. 배팅 케이지나 장비 등은 선수들이 직접 옮겨야 한다. 가끔씩은 땅을 고르는 일까지 한다. 운동장 보조요원이 거의 없기 때문이다. 지난해까지 미국 프로야구에서 활약하다가 국내로 돌아온 송승준(롯데)은 “한국의 2군에서는 경기진행을 도와주는 사람이 거의 없다. 운동장 정비 등 야구 외적인 면만 놓고 보면 한국의 2군리그는 미국의 루키(신인)리그 수준밖에 안된다”고 했다.

진행요원 거의 없어
직접 땅 고르기도
비번인 투수가 기록지 ‘당번’

컵라면 등으로 식사를 때우기 위해 더그아웃 벤치에 사발면 등 먹거리가 잔뜩 놓여 있다(위). 한화 선수들이 더그아웃 앞 의자에 앉아 샌드위치를 나눠먹고 있다.
■ 낮 12시 =점심을 먹는다. 한화를 예로 들면, 한화 2군 선수들의 한끼 평균 식사비는 1만원을 넘지 않는다. 1군 선수들의 한끼 평균 식사비는 1만5천원~2만원. 12일 인천 도원구장에서 열린 SK와의 연속경기 1차전 직후 한화 선수들은 덕아웃에 앉아 샌드위치로 끼니를 때웠다. 코칭스태프는 한쪽에서 사발면을 끓여 샌드위치로 텁텁해진 목을 적셨다. SK 코칭스태프는? 콩국수가 그들의 점심이었다.

■ 오후 1시 =경기가 시작된다. 선수들이 혹사당한다는 이유로 1군에서는 거의 사라진 연속경기라도 잡히면 오전 11시부터 ‘플레이 볼~’이다. 연속경기는 1차전 7이닝, 2차전 9이닝으로 치러진다. 그나마 지난해까지는 1, 2차전 모두 9이닝이었다. 2군은 전기료 등 비용 때문에 한여름에도 낮경기로만 열린다. 선수들 대부분이 새까맣게 변하는 이유다. 배트보이나 볼보이도 없다. 구단 기록지 또한 이날 비번인 투수들이 적는다. 투구스피드 재는 것도 선수들 몫. 때문에 기록실은 양팀 투수들로 북적인다. 2군 경기에 투입되는 심판수는 모두 3명(1군은 4명)이다.

■ 오후 5시 =좁은 버스에 오른다. 40인승 버스에 35명 안팎의 건장한 청년들이 빼곡이 차다보니 갑갑하고 오래 앉아 있으면 무릎까지 저린다. 1군 버스는 보통 27인승으로 경기 때마다 2대가 움직인다. 버스만 놓고 보면 1군은 우등버스를 타고, 2군은 보통버스를 타는 셈이다. 원정구단은 숙소로 향한다. 숙소는 여관급이다. 2군 숙박비는 대부분 3만~5만원 정도. 1군은 7만원 이상의 호텔에 묵는다. 한화 김해님은 “대학 원정 때나 머물던 곳”이라고 했다.

■ 오후 7시 이후 =2군 경기가 일찍 끝나면 1군 구장에서 야구경기를 보기도 하지만, 다음 날 경기 때문에 대부분은 집으로 향한다. LG 이동현은 “1군 경기는 보면 볼수록 속만 끓이게 돼 안보게 된다”고 했다. 선수단 숙소를 쓰는 선수들은 웨이트 트레이닝이나 야간 훈련을 하기도 한다. 두산은 오후 11시면 이천 숙소의 불을 끈다.


2006시즌 기간 전·후로 8개 구단에서 자유계약으로 풀린 선수(외국인선수 제외)는 모두 84명. 이들 중 1군 무대를 한번도 밟지 못하고 방출당한 사람은 35명. 이 가운데는 올시즌 신고선수로 입단해 다시 1군의 문을 두들기는 선수도 있다. 2군의 삶은 고되고, 언제 방출될 지 모르는 두려움을 안고 있다. 하지만, 그런 삶속에서 2001년 투수 3관왕에 올랐던 신윤호(LG)가 탄생했고 올해도 박재상 조동화(SK) 고영민(두산) 등이 오랜 2군 수업을 거쳐 1군에서 활약중이다. “한번 밟아본 1군을 그리면서 2군에서 처절하게 살아남고자 했던 게”(조동화) 그들 힘의 원천이다.

글·사진 김양희 기자 whizzer4@hani.co.kr


1군은… ‘출근’도 느긋, 숙소는 호텔

■ 프로야구 1군의 하루는

오후 6시30분 안방경기를 치르는 선수들은 보통 오후 2시30분까지 구장으로 나온다. 특별타격훈련이 있는 선수는 그보다 1시간 정도 일찍 나오지만, 대부분 점심을 먹고 구장으로 온다.

오후 4시30분 정도면 타격훈련과 수비훈련이 모두 끝난다. 배팅 케이지 등 장비에 대해서는 전혀 신경쓸 필요가 없다. 이후에는 이른 저녁을 먹은 뒤 경기 시작 전까지 라커룸에서 휴식을 취한다. 식사는 보통 구내식당에서 먹는데, 뷔페로 준비되는 곳도 있다.

10시쯤 경기가 끝나면, 지인을 만나러 가거나 집으로 돌아간다. 물론 더러 구장에 남아 ‘나머지 훈련’을 하는 선수들도 있다.

원정을 떠난 선수들은 평균 오후 4시께 구장으로 모이며, 훈련 뒤 묵고 있는 호텔에서 마련해준 음식으로 간단한 요기를 한다. 경기가 끝나면 식사를 하고 숙소에서 휴식을 취한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