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07 프로야구 최우수선수에 선정된 다니엘 리오스(두산)가 31일 시상식에서 트로피에 입을 맞추고 있다. 연합뉴스
|
78% 득표율…프로야구 정규리그 ‘MVP’ 영예
일본행 질문엔 “지금 가고 싶은 곳은 고향해변”
1983년 장명부(삼미) 이후 24년 만의 선발 22승(5패). 평균 자책 2.07과 승률 0.815로 손에 쥔 개인 타이틀(다승 평균자책 승률)만 3개였다. 그만한 성적을 낸 타자가 없었기에 정규리그 최우수선수(MVP)는 떼논 당상이었다. 초반 타격 2관왕(타율·최다안타) 기아 이현곤과 박빙의 표싸움을 벌였지만, 이변은 없었다.
두산 외국선수 다니엘 리오스(35)가 31일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열린 기자단 투표에서 총 유효표 91표 중에서 71표(득표율 78%)를 얻어 2007 프로야구 정규리그 최우수선수(MVP) 영예를 안았다. 외국인선수가 정규리그 최우수선수가 된 것은 1998년 타이론 우즈(당시 두산) 이후 9년 만이다. 투수부문 타이틀 3개 이상 획득한 선수로는 통산 7번째.
2002년 기아 유니폼을 입고 한국 무대를 처음 밟은 뒤 6시즌째 되는 해에 최고 에이스로 우뚝 선 리오스. 그는 “최우수선수 수상은 내게 두가지 의미가 있다”면서 “하나는 그동안 열심히 운동한 데 대한 보상이고, 다른 하나는 타자와 달리 투수는 팀동료들의 도움이 없이는 이길 수 없는데 동료들과 팀이 있었기에 가능했다”고 말했다. 관심이 집중된 일본행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정해진 것은 아무 것도 없다. 일본 갈 생각보다 당장은 (마이애미) 해변에 가고 싶다”며 즉답을 피했다. 2천만원 상당의 순금 트로피를 부상으로 받은 리오스는 1일 미국 마이애미로 출국한다.
신인왕 또한 두산의 몫이었다. 두산 새내기 투수 임태훈(19)은 79표(유효표 91표·득표율 87%)의 압도적인 표몰이로 2007 최고 신인으로 우뚝 섰다. 두산이 신인왕을 배출한 것은 1999년 홍성흔 이후 8년 만이며, 한 팀이 최우수선수-신인왕을 동시에 배출한 것은 류현진(한화)이 신인왕과 최우수선수를 동시에 석권한 지난해와 1985년 해태(현 KIA) 김성한-이순철, 1993년 삼성 김성래-양준혁 이후 4번째다.
올 시즌 반달곰 핵심 불펜으로 활약했던 임태훈(7승3패 평균자책 2.40)은 “올 한해 내가 부족한 걸 알았고, 어떻게 해야되는지도 알았다. 내년에는 더 자신있고 과감하게 던지도록 노력하겠다”고 했다. 그는 트로피와 200만원을 상금으로 받았다.
한편 정규리그 최우수선수는 2004년부터, 신인왕은 2002년부터 투수가 연속 수상하면서, 투수들의 강세가 두드러졌다.
김양희 기자 홍석재 기자 whizzer4@hani.co.kr
|
2000년 이후 최우수선수 및 신인상 명단
|
신인왕 임태훈…시상식 ‘두산 잔치’
|
2007 프로야구 신인상을 받은 임태훈이 꽃다발을 들고 환하게 웃고 있다. 연합뉴스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