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경백/대한야구협회 홍보이사
|
구경백의 포스트시즌 관전평
객관적 전력을 비교했을 때 에스케이가 공수 모든 면에서 한화보다 앞선다. 1승1패의 팽팽한 상황에서 더욱 에스케이가 유리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러나 3차전 승부는 예상 외의 결과가 나왔다. 양쪽 벤치의 머리싸움에서 승부가 갈렸다. 선발 김해님이 1회 2실점한 이후 김인식 한화 감독이 2회부터 최영필로 투수를 바꾼 것이 승부의 분수령이었다. 한화 벤치는 최소한 김해님이 4∼5회 정도는 버텨줄 것으로 판단했다. 그러나 김해님이 에스케이 타자들에게 끌려다니는 투구 패턴을 보였고, 김 감독이 과감히 최영필을 올린 것이 에스케이 타자들에게 혼돈을 가져왔다. 최영필은 철저하게 변화구를 앞세운 제구력으로 타자의 타이밍을 빼앗는 투수. 그는 9회 마무리 지연규에게 마운드를 넘겨줄 때까지 벤치의 믿음을 저버리지 않았다. 에스케이의 강점 중 하나는 포수 박경완이 상대 타자의 타이밍을 빼앗는다는 점이다. 그러나 김인식 감독은 발빠른 주자 고동진이 3회와 5회 출루했을 때 상대 투수가 변화구를 던지는 상황에서 2루 도루를 감행하는 노련한 수싸움을 보여줬다. 결국 박경완의 볼 배합은 노출될 수밖에 없었다. 3차전을 통해 드러난 에스케이의 큰 고민은 수비의 핵인 2루수 정경배와 유격수 김민재의 활약이 미흡하다는 점이다. 충분히 처리할 수 있는 뜬공을 놓치는가 하면, 베이스 커버가 늦는 등 전체적으로 수비의 불안을 가중시켰다. 한화는 플레이오프행 8부 능선을 넘었다. 필승카드라 할 수 있는 문동환을 언제 투입할 것인지가 김인식 감독의 고민이 될 것이다. 구경백/대한야구협회 홍보이사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