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5.05.01 10:00 수정 : 2005.05.01 10:00

박영석 북극원정대 박영석 북극원정대가 1일 새벽 북극점에 도달했다. 사진은 지난 11일 탐험길 절반에 북위 86도34분에 도달해 독도는 우리땅'이라는 푯말을 들고 기념촬영 하고 있는 홍성택, 오희준, 정찬일 대원, 박영석 대장(왼쪽부터)/(연합)


"포기하기 싶을 때는 1%의 가능성만 있어도 절대포기하지 않는다는 신조로 버텼습니다.

" 세계적인 산악인 박영석(42)씨가 북극점에 도달하면서 전대미문의 산악그랜드슬램을 달성했다.

산악그랜드슬램이란 지구 3극점 도달, 히말라야 14좌 완등, 7대륙 최고봉 완등을 모두 이루는 것으로 지금까지 어느 누구도 범접하지 못했던 대기록. 탐험대장 박씨를 비롯한 모두 4명(홍성택.오희준.정찬일)으로 구성된 원정대는1일 새벽 4시45분(이하 한국시간) 북극점을 밟는데 성공한 뒤 연합뉴스에 위성전화로 이 사실을 알려왔다 박씨는 "북위90도를 정확히 밟았다.

힘든 탐험길을 군말없이 따라준 대원들에게감사한다"고 소감을 말했다.

그는 "그동안 성원을 보내준 국민들에게 감사하고 북극점 도달, 그랜드슬램 달성 소식이 국민들이 힘내는데 보탬이 되어줬으면 한다"고 덧붙였다.

지난 3월9일 워드헌트를 떠나 본격적으로 두 발에 의지해 탐험 길에 나선 지 54일만이다.

잠을 줄이고 발걸음을 재촉해 예정보다 6일 정도를 앞당겼다.


워드헌트에서 북극점까지의 거리는 775㎞. 그러나 실제 걸은 거리는 3배에 가깝다.

리드(얼음이 갈라져 바닷물이 드러난 곳), 난빙대(얼음산), 크레바스(빙하지대의 갈라진 틈) 등을 피하다 보니 2천㎞ 정도에 걸쳐 발자국을 남겼다.

원정대는 그동안 영하 40∼50도의 강추위와 눈보라를 동반한 강풍인 블리자드속에서 한 걸음 한 걸음 무거운 걸음을 내디뎠다.

맨몸으로 걸어간 것도 아니다.

각자 100㎏의 썰매를 짊어지고 설원을 가로질렀다.

극지 중의 극지를 탐험하다 보니 몸상태가 정상일 리는 만무했다.

대원 대부분은 얼굴과 손발 등에 동상을 입으면서 강행군을 해왔다.

박씨는 허벅지에 동상을 입고 홍성택씨는 발목에 피로골절 증세를 보였다.

정찬일씨는 동상으로 코에 물집이 잡혔다.

특히 박씨와 홍성택씨는 설맹 증세로 악전고투했다.

다행스러웠던 것은 탐험 막 바지에 기온이 높아져 동상 증세가 악화되지 않아끝까지 걸어갈 수 있었다.

원정 길에서 갑자기 리드에 빠진 것도 부지기수. 얼음바다에 빠지는 것만으로도생명이 위험한 데다 젖은 옷을 말리자면 꼬박 하루를 움직이지 못하고 텐트 안에 묶여 발을 동동 굴러야 했다.

얼음이 이동하는 북극의 특성상 전진해도 뒤로 밀리는 일도 겪었다.

북극점 방향과 반대편인 남쪽으로 얼음이 움직여 다람쥐 쳇바퀴 돈 격. 박씨가 북극에 도전한 것은 이번이 두 번째다.

지난 2003년 2월 북극 도전에 나섰지만 4월말에 악천후와 부상 등의 이유로 원정길 절반 정도를 남겨두고 발걸음을돌려야 했다.

그때의 경험을 교훈 삼아 박씨는 이번 원정에 옷과 신발을 직접 디자인하는 등만반의 준비를 했고 결국 2년 전 아픈 기억을 딛고 결국 북극점 도달에 성공했다.

한편 박씨는 북극점에서 비행기를 통해 베이스캠프로 돌아온 뒤 오는 12일께 귀국할 예정이다.

(서울/연합뉴스)

노대통령 산악인 박영석씨에 축전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은 1일 북극점 원정에 성공해 세계 최초로 산악 그랜드슬램을 달성한 북극원정대 박영석 대장에게 축전을 보내 쾌거를 축하하고 격려했다.

노 대통령은 축전을 통해 "전세계에 한민족의 저력과 대한민국의 명예를 드높인 자랑스러운 쾌거"라며 "그동안 흘린 땀과 노고를 진심으로 치하한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