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여성주의 만나면서 40년 가치관 거의 무너져내려”
- <한겨레>는 소설 <붕대 감기>의 작가 윤이형과 이메일 인터뷰를 했다. 인터뷰 전문을 싣는다.-‘붕대 감기’라는 제목으로 상징하고자 한 것은 무엇입니까? 소설에서 묘사된바, 고교 시절 교련 시간 세연의 붕대 감기처럼 서투르고 실수도 생기지만 그럼에도 챙기고 지속해 가야...
- 2020-01-17 05:59
-

- 4주만에 다리를 ‘일자’로? ‘삽질’할 땐 워크북
- 아침에 눈뜨기가 겁나던 시절이 있었습니다. 즐거운 일이 없었습니다. 모래알처럼 속절없이 흩어지는 시간을 붙잡고 싶던 어느날, 책 한권이 눈에 띄었습니다. 일본 요가 강사 에이코가 지은 <아무리 뻣뻣한 몸이라도 4주 만에 다리 일자 벌리기>(2017). 총 6가지 동작만 매일 하면 한
- 2020-01-17 05:59
-

- 북미대륙 지도에 가려진 미 제국의 진짜 모습
- 미국, 제국의 연대기-전쟁, 전략, 은밀한 확장에 대하여 대니얼 임머바르 지음, 김현정 옮김/글항아리·3만5000원미국은 제국인가? 직감적으로 의문의 여지가 없어 보인다. 압도적인 군사력과 경제력, 지배적인 소프트 파워 덕에 오늘날 미국은 인류 역사상 유례없는 초강대국으로
- 2020-01-17 05:59
-

- “싸우지 않으면…남편의, 아들의 넋을 위로할 길이 없어요”
- 첫 화두는 꿈이었다. 만나자마자 김미숙(52) 김용균재단 이사장이 오은주(37)씨에게 자연스레 안부를 물었다. “혹시, 그 사람 꿈 꾼 적이 있나요?” 김 이사장의 말에 오씨의 눈가가 금세 촉촉해졌다. 한국마사회의 비리를 고발한 뒤 세상을 떠난 경마기수 문중원씨의 아내인 오씨는 아직 한번
- 2020-01-17 05:01
-

- 일본의 한국 전문가 “일 식민지배 책임성 부인 뒤에 미국 있다”
- 현대 한일문제의 기원: 한일회담과 ‘전후 한일관계’요시자와 후미토시 지음, 이현주 옮김/일조각·3만5000원“한국전쟁이 한창이던 1952년 4월 일본은 (미국으로부터) 독립해 국제 사회에 복귀했다. 일본이 복귀한 국제사회는 미국과 소련이 자본주의 진영과 사회주의 진영으로 양분하는 ‘냉
- 2020-01-17 05:01
-

- 첫차 타고 강남빌딩 윤낸 아침 “우리가 일해야 세상이 돌아가”
- 첫차는 출발 11분 만에 만석이 됐다. 새벽 4시 서울 구로의 작은 공원에서 출발한 6411번 버스가 영등포와 동작을 거쳐 강남 복판의 마천루로 향하는 동안 어두운 점퍼에 주름진 얼굴을 파묻은 이들이 꾸역꾸역 버스에 올랐다. 올해 예순일곱이 된 김순남(이하 모두 가명)은 개중에서도
- 2020-01-17 05:00
-

- 일본 당국과 기업의 자료로 ‘반일종족주의’를 반박하다
- 반대를 론(論)하다: ‘반일종족주의’의 역사부정을 넘어정혜경·허광무·조건·이상호 지음/선인·1만5000원“암성재상(岩城在祥, 1922년생, 경남 양산군 출신). 1943년 9월20일 홋카이도탄광주식회사 헤이와(平和)탄광 소속 마야치 지갱(地坑)에 동원. 1944년 5월17일 오전 2시경 도주하던 중
- 2020-01-17 05:00
-

- “문제는 세대가 아니라 세습이다”
- 세습 중산층 사회 조귀동 지음/생각의힘·1만7000원세대는 사회 분석의 오랜 화두다. 언론은 그럴싸한 수식어를 끌어다 대며 특정 세대를 정의하려 든다. 불평등 역시 꽤 익숙한 주제다. 소득·자산·젠더·환경·건강·시간 등 불평등은 여러가지 얼굴로 우리 곁에 똬리를 틀고 앉아 있다. 문제는 세
- 2020-01-17 05:00
-

- 발해 ‘십자가’ 유물은 개방과 공존의 상징이었다
- 우리에게 기독교는 근대 이후 서양을 통해 들어온 대표적인 종교다. 하지만 최초의 기독교는 그보다 훨씬 이른 1500년 전에 서유럽을 거치지 않고 실크로드를 따라 동아시아로 들어왔고, 당나라와 몽골 제국에서도 널리 유행했다. 그리고 그 일파는 발해에도 도달한 흔적이 최근 고고학적 자료로...
- 2020-01-17 05:00
-

- 1월 17일 동정
- ⊙ 폴킴(가수·본명 김태형)은 지난해 말 기후변화 문제에 대응하는 시민운동 기구 ‘기후위기 비상행동’에 1억원을 기부했다. 기후변화 해결을 위한 청소년·시민들의 목소리에 더 많은 관심과 응원이 필요하다는 뜻을 밝혔다.⊙ 김영일 한국문학세상 회장(공무원 출신 시인·수필가)은 15일 세종시 국
- 2020-01-16 23:03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