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세상 가장 큰 꽃’ 인도네시아 정글서 발견…지름 111㎝
- '세상에서 가장 큰 꽃'으로 꼽히는 라플레시아 중에서도 지름이 1.11m에 이르는 꽃이 인도네시아 수마트라섬 정글에서 발견됐다.서수마트라 천연자원보호국(BKSDA)은 지난 2일 아감 마닌자우 자연보호구역에서 '역대급' 라플레시아(Rafflesia tuan-mudae) 꽃을 발견해 찍은 사진을
- 2020-01-04 10:38
-

- 18년 만에 온 ‘18살 선거권’, 그들이 만들었다
- 지난해 12월31일 서울 영등포구 국회 앞 한 빌딩에서 작은 축하파티가 열렸다. 내년 총선부터 선거연령이 19살에서 18살로 내려간 일을 자축하는 자리였다. 케이크와 장미꽃다발을 놓고 30여명이 둘러앉았다. 지난 2년간 청소년 참정권 운동을 해온 촛불청소년인권법제정연대 회원들이었다. 43일간
- 2020-01-04 10:06
-

- 양준일, 90년대를 산 채로 잡아온 ‘유튜브 시간여행자’
- 최근 유튜브의 <그알> 채널을 구독하기 시작했다. 에스비에스(SBS) <그것이 알고 싶다> 제작진이 개설한 공식 채널인데, 방송 예고편이나 본방송에서 미처 다루지 못한 취재 뒷이야기, 여전히 미제사건으로 남아 있는 과거 방송분 하이라이트 등을 편집해서 올리는 계정이다. 미제...
- 2020-01-04 09:46
-

- “내 경계 넘어오면 부모라도 끊어내야”
- ▶“자격증 있는 사람이 치유자가 아니라 사람을 살리는 사람이 치유자다.” “충조평판(충고·조언·평가·판단)만 안 할 수 있어도 공감의 절반은 시작된 것이다.” 심리치유서 <당신이 옳다>에서 정신과 전문의 정혜신씨와 심리기획자 이명수씨는 이렇게 썼다. 30여년간 1만2천여명의 속마음
- 2020-01-04 09:26
-

- ‘충조평판’ 안 했더니 마음의 빗장이 열렸다
- ▶“자격증 있는 사람이 치유자가 아니라 사람을 살리는 사람이 치유자다.” “충조평판(충고·조언·평가·판단)만 안 할 수 있어도 공감의 절반은 시작된 것이다.” 심리치유서 <당신이 옳다>에서 정신과 전문의 정혜신씨와 심리기획자 이명수씨는 이렇게 썼다. 30여년간 1만2천여명의 속마음
- 2020-01-04 09:11
-

- 트럼프 “솔레이마니 살해, 전쟁 시작 아닌 중단 위한 것”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미군의 공습으로 이란 군부 실세인 카셈 솔레이마니 사령관을 살해한 것과 관련해 3일(현지시각) “전쟁의 시작이 아니라 전쟁의 중단을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이란은 미국에 “최고의 응징을 맛보게 될 것”이라며 강력한 보복을 예고해, 미-이란 긴장
- 2020-01-04 08:54
-

- 숨고른 인도, 달 남극 착륙 재도전
- 지난해 9월 무인탐사선 찬드라얀 2호의 달 착륙에 실패했던 인도가 2020년을 맞아 새로운 우주도약 청사진을 내놨다. 우선 러시아, 미국, 중국에 이어 세계 네번째 달 착륙 국가가 되려는 꿈에 다시 도전한다. 이르면 올해 안에 달 착륙선을 다시 발사하기로 했다. 이번에 쏘아올릴 찬드라얀 3호는 찬드라
- 2020-01-04 07:59
-

- 홍준표 “대구나 밀양 출마하겠다”
- 홍준표 자유한국당 전 대표가 보수통합이 되지 않을 경우 오는 4·15 총선에서 대구 동구을이나 경남 밀양·의령·함안·창녕에서 출마하겠다고 3일 밝혔다.홍 전 대표는 이날 TBS <김지윤의 이브닝쇼>에 출연해 “대구 동구 을과 밀양 창녕에는 우리 당 현역 의원이 없다” “보수대통합
- 2020-01-03 22:26
-

- 트럼프 “이란 전쟁 못 이겨도 협상선 지지 않아”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3일(현지시각) 트위터에 “이란은 결코 전쟁에서 이기진 못 했지만, 협상에선 지지 않았다”는 글을 올렸다. 트럼프는 이날 미 국방부가 자신의 지시로 이란 군부 실세인 카셈 솔레이마니 ‘쿠드스’(이란혁명수비대 정예군) 사령관을 살해했다고 공식 발표한 뒤 이런
- 2020-01-03 22:19
-

- 전체 농가 절반에 농민수당·농민 기본소득…‘농촌 살리기’ 나선 지방정부
- 새해에 전국 상당수 농가를 대상으로 한 기본소득 실험이 이뤄진다. 중앙정부가 사실상 손을 놓은 사이, 지방정부가 농업과 농촌의 공익적 가치에 주목해 사회적 보상에 나선 결과다. 갈수록 악화되는 도시와 농촌의 양극화를 해소하고 지방 소멸을 늦추기 위한 지방정부의 시도라는 풀이가...
- 2020-01-03 21:54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