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스마트 시티’ 송도가 ‘유령도시’가 된 까닭
- 짓기와 거주하기: 도시를 위한 윤리리처드 세넷 지음, 김병화 옮김/김영사·2만2000원민권운동이 한창 타오르던 1960년대 중반, 미국 보스턴 구역의 노동계급 거주지에 새 학교를 짓기로 했다. 흑인과 백인 아이들이 함께 공부하는 인종 통합학교를 만들 것인가, 아니면 흑백 분리 학교를 만들 것인가?
- 2020-01-03 06:00
-

- “세계를 사랑하는 힘으로 변화시키자”
- 여성-되기: 들뢰즈의 행동학과 페미니즘 김은주 지음/에디투스·1만5000원 “페미니즘은 세계를 어떻게 바꾸고 일으킬지를 고민해야 합니다. 지금의 문제를 페미니즘이 ‘치유’해달라는 요구도 부적절하지만, ‘권력 가지기’ 정도로만 끝나는 것도 페미니즘의 위대한 성취와는 거리가 멀 수...
- 2020-01-03 06:00
-

- 당신이 만날 새 책 ‘대표선수’는?
- 더 나은 세상으로 가는 변화의 추동력이 과거를 고수하는 이들의 저항과 이해관계의 복잡함과 현실의 입체성에 부닥쳤던 2019년을 보내고, 새해를 맞았다. 분노와 무기력에서 일어나 위로를 받고 각오를 다지는 데 믿음직한 조력자는 역시 책. 그러나 가까이 있어도 먼 것이 책 아니던가. 무지
- 2020-01-03 06:00
-

- 다시 만난 장희빈
- 미천한 신분의 궁중 나인에서 임금 ‘호리는’ 재주 하나로 왕비석을 쟁취하고, 무소불위의 권력을 휘두르다 결국 사약으로 삶을 마감한 악녀, 우리에게 각인된 장희빈(1659~1701)의 이미지다. 그녀를 설명하는 언어의 틀은 대체로 희화적이고 악의적이다. 반면에 적수 인현왕후(1667~1701)는 고귀한...
- 2020-01-03 06:00
-

- 미혼모는 왜 어머니가 될 수 없었나
- 미혼모의 탄생: 추방된 어머니의 역사 권희정 지음/안토니아스·1만8000원‘베이비붐’은 알아도 ‘베이비스쿱’을 아는 이는 별로 없다. 국자로 퍼내듯 아이들을 퍼갔다는 의미로 ‘아기 퍼가기 시대’ 또는 ‘아기 국자 시대’로 번역되는 ‘베이비스쿱 시대’는 “제2차 세계대전 이후부터...
- 2020-01-03 06:00
-

- 정세랑의 생태 페미니즘 에스에프
- 목소리를 드릴게요정세랑 지음/아작·1만4800원정세랑(사진)은 본격문학과 장르문학을 자유롭게 오가며 작품을 쓴다. 첫 단편집 <옥상에서 만나요>(2018)에도 판타지와 역사물 같은 장르적 작품들이 포함되었지만, 그의 새 소설집 <목소리를 드릴게요>는 온전히 에스
- 2020-01-03 06:00
-

- “부당하다 말하다보면 말할 수 있게 돼요”
- 독서동아리 ‘전북 책을 읽는 시간’(전시)은 느슨하다. 소모임 애플리케이션에서 낯선 사람들이 만났다. 누구나 들어올 수 있는데 어쩌다 보니 20~30대가 대부분이다. 각자 읽고 싶은 걸 읽으면 된다. 3년 전 시작했는데 책보다 술에 관심 많던 사람들은 빠져나갔다. 한 주에 한 번 모르는
- 2020-01-03 06:00
-

- ‘밀레니얼’에게서 얻는 희망
- [책&생각] 서영인의 책탐책틈일의 기쁨과 슬픔장류진 지음/창비(2019)우리가 서로에게 미래가 될 테니까윤이나 지음/코난북스(2019)새해가 밝았으니 어쩐지 희망에 대한 이야기를 해 보고 싶었다. 한 해 동안 내가 기대할 수 있는 희망을 가늠하다가, 문득 최근 얼마간 희망이라는 것을 감지
- 2020-01-03 06:00
-

- 14세기 바퀴의 상징…여신의 변덕인가, 신의 질서인가
- [책&생각] 윤비의 이미지에 숨은 정치18) 롱소프의 바퀴. 도상학으로의 길 1 이미지를 연구하다보면 기대하지 않았던 발견을 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한 발견은 우리를 새로운 인식으로 안내하기도 한다. 그리고 그것은 때로 연구자를 새로운 연구분야로 이끌기도 한다. 이번 글부터 세 번에 걸쳐...
- 2020-01-03 06:00
-

- ‘강한 남자’가 되지 못한 ‘유대계 미국인’의 좌절
- <포트노이의 불평>(1969)은 필립 로스의 ‘사고작’이다. 데뷔작 <굿바이 콜럼버스>로 이미 전미도서상을 수상했지만 정작 필립 로스란 이름이 미국 전역에 알려지게 되는 건 그에게 명성과 함께 오명까지 안겨준 이 책이 출간되면서다. 일종의 대형사고라고 할까. 미국문학사에...
- 2020-01-03 05:01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