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국 화장품 기업들, IT 접목한 미용기술 선봬
- 이번 시이에스(CES)에는 한국 화장품 기업도 참여해 아이티(IT) 기술을 접목한 미용 기술을 선보였다.올해 처음으로 시이에스에 참가한 아모레퍼시픽은 지난 7일(현지시각) 미국 라스베이거스 시이에스 현장에 마련된 체험공간에서 시이에스 쓰리디(3D) 프린팅 분야 혁신상을 받은 ‘쓰리디 프린팅
- 2020-01-16 09:01
-

- 모터쇼 넘어 IT 박람회…자동차, 도로 너머로 눈 돌리다
- 라스베이거스는 미국 네바다주 사막 한가운데 세워진 카지노 도시다. 수많은 사람이 잭팟을 꿈꾸며 불나방처럼 몰려든다. 하지만 어느 때부터인가 이 화려한 도시는 혁신 기술을 길어내는 오아시스로 탈바꿈하고 있다. 지난 7~10일(현지시각) 이곳에서 열린 세계 최대 가전·아이티(IT)전시회 ‘2020
- 2020-01-16 09:01
-

- 미-중, 백악관서 ‘1단계 무역합의’ 최종 서명
- 미국과 중국이 15일(현지시각) 1단계 무역합의에 최종 서명했다. 2018년 7월 미국이 중국산 제품에 ‘관세 폭탄’을 투척하며 시작된 무역전쟁이 18개월 만에 공식 휴전에 들어가, 세계 경제에 드리웠던 불확실성이 일정 부분 잦아들었다. 하지만 합의 이행과정에서 분쟁이 재발할 우려가
- 2020-01-16 08:30
-

- 한국당 텃밭 부산, 한국당 국회의원 무더기 불출마
- 자유한국당 부산 지역구 국회의원들이 4월 국회의원 선거 불출마를 잇달아 선언하면서 지역정가가 술렁이고 있다.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은 한국당의 텃밭인 부산을 처음으로 무너뜨릴 좋은 기회로 여기고 있다. 한국당은 인적쇄신을 통해 30년 가깝게 유지해온 지역 1당의 위치를 지키겠다는 전략이
- 2020-01-16 04:59
-

- 미혼모라야 지원 ‘한국’, 양육·교육도 책임지는 ‘아일랜드’
- 지혜(가명·18)와 성훈(가명·22) 부부는 배 속에 있는 아기와 함께 안정적인 가정을 꾸리길 꿈꾼다. 하지만 용기를 가지려고 해도, 한국 사회에서 이 젊은 예비 부모의 삶은 막막하기만 하다. 아직 부양능력을 갖추지 못한 청소년부모를 지원할 제도가 없어서다. 성훈이 곁에 있는 한 지혜는 한부
- 2020-01-16 04:59
-

- ‘어린 부모’로 산다는 것…‘어쩌다 행운’ 민지 부부의 자립기
- 이수영(가명·19)과 김민지(가명·20)의 2020년은 특별하다. 또래 청소년들이 대학에 갈 때 두 사람은 부모가 되기로 마음먹었다. 교제한 지 1년이 채 되지 않은 청소년 연인에게 아이가 생겼을 때 주변의 반응은 한결같았다. “애가 애를 낳네.” 그러나 수영은 개의치 않았다. 기쁜
- 2020-01-16 04:59
-

- “성소수자 포함한 성평등에 반대” 서울시 성평등위원의 자기모순
- 서울시가 성평등 정책에 관한 주요 사항을 심의·조정하기 위해 만든 성평등위원회의 위원인 서울시의원이 성평등 기본조례 개정안을 논의하는 공식회의에서 성소수자 차별 발언을 하고, 자신이 공동발의한 성평등조례 개정안까지 반대하고 나서 논란이 일고 있다. 성평등 의식이나 젠더 감수성이...
- 2020-01-16 04:59
-

- ‘고아 없는 세상을 향해’ 손을 잡다
- ‘유엔 세계 고아의 날 제정 추진위원회 이순재 총재 취임식'이 15일 오전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수백명의 각계 인사와 일본 후원자들이 참가한 가운데 열려 ‘고아 없는 세상’을 위해 힘을 모을 것을 다짐했다. 왼쪽부터 이낙연 전 국무총리, 이순재 총재, 윤기 공생복지재단 명예회장이 함께 했
- 2020-01-16 00:04
-

- 한국당, 이해찬 비판하며 ‘덩달아’ 장애 비하
- 이해찬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선천적 장애인은 의지가 약하다”는 발언으로 물의를 일으킨 가운데 자유한국당이 이 대표를 비판하며 ‘장애인’이라는 단어를 비하의 의미로 사용해 논란을 가중시키고 있다. 한국당이 이 대표 발언의 문제가 무엇인지 파악하지 못한 채 무작정 ‘민주당...
- 2020-01-15 21:59
-

- 개인정보 보호 준비없이…의료데이터 개방 속도낸다
- 이른바 ‘데이터 3법’(개인정보보호법·신용정보법·정보통신망법) 국회 통과에 따라, 정부가 바이오헬스 산업 육성을 위한 의료 데이터 활용에 속도를 내고 있다. 정부는 진료정보 등은 사생활 침해 우려가 큰 만큼 당사자가 거부 의사를 밝히면 활용을 중지하는 ‘옵트아웃제’ 등을 포함한 보
- 2020-01-15 21:44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