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 [세상 읽기] 빈곤에 기생하는 사회 / 조문영
    조문영 ㅣ 연세대 문화인류학과 교수영화 <기생충>의 다양한 국외 포스터 중 프랑스에서 제작한 아트 포스터가 눈에 띈다. 박 사장 집과 기택네 반지하 집이 한 건물의 위아래를 차지하고 있다. 기택네 가족은 반쯤 물에 잠긴 집에서 빠져나와 건물에 아슬아슬하게 매달린 반
    2020-01-15 17:50
  • [편집국에서] 문 대통령의 ‘호소’가 이뤄지려면 / 최현준
    최현준 ㅣ 법조팀장지난 14일, 예정된 90분을 넘겨 110분 동안 진행된 문재인 대통령의 신년 기자회견은 다소 아쉬웠다. 무엇보다 지난 반년 가까이 들끓었던 조국 전 법무부 장관과 그를 둘러싼 검찰 수사에 대한 문 대통령의 답변이 그랬다.문 대통령은 ‘조 전 장관 사퇴론이 한창일 때 장관
    2020-01-15 17:50
  • [공감세상] 유칼립투스를 누가 죽이는가 / 이라영
    이라영 ㅣ 예술사회학 연구자강원도 철원에서는 얼음트레킹축제가, 화천에서는 산천어축제가 제날짜에 이뤄지지 못했다. 산천어축제는 그동안 동물학대 등의 이유로 비판을 받아왔다. 축제의 연기나 취소 사유가 이 동물학대 때문은 아니다. 산천어축제는 꽁꽁 언 빙판에 구멍을 뚫어 미리 풀어놓은...
    2020-01-15 17:50
  • 금속선으로 연결된 미술 거장 앤터니 곰리와 방탄소년단
    비티에스(BTS)의 괴력! 그들이 이끄는 한류 바람이 세계 현대 미술계까지 불어닥칠 것인가. 거장으로 추앙받는 영국의 노장 조각가 앤터니 곰리(70)가 지난 14일 런던 서펀타인 갤러리에서 발표한 새해 작업 계획은 현지 미술계를 놀라게 했다. 이 노장이 세계적 인기몰이를 하는 한국 아이돌그룹 방탄
    2020-01-15 17:48
  • [뇌부자들 상담소] 괜찮아요, 당신 탓이 아니에요 / 윤희우
    윤희우 ㅣ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올해는 시작부터 안 좋은 일이 있었는데, 끝날 때도 또 안 좋은 일이 있네요.”12월 마지막 주에 ㄴ씨가 진료실에서 한 이야기이다. 2019년을 시작하는 시점에 아버지와 심하게 다투면서 우울증이 시작되었고, 2년째 하고 있는 작은 가게에 나가는 게 너무 재미
    2020-01-15 17:48
  • [왜냐면] 창조컨설팅 ‘작품 1호’ 영남대의료원의 14년 / 강연배
    강연배 ㅣ 보건의료노조 선전홍보실장200일. 16일이면 영남대의료원에서 해고된 박문진 간호사가 복직에 대한 마지막 희망을 안고 70미터 고공에 올라 농성을 시작한 지 200일째가 된다. 텐트 한장에 의존해 한여름 49.5도를 오르내리는 폭염과 유난히 많았던 태풍을 견디었고, 이제는 살을
    2020-01-15 17:48
  • [옵스큐라] 거리의 조등 / 이정아
    주말 밤인 지난 11일 정부서울청사 옆, 길 위에 조등이 켜졌다. 한국마사회의 비리 의혹을 고발한 유서를 남기고 2019년 11월29일 스스로 목숨을 끊은 경마기수 문중원씨는 이곳에서 겨울을 나고 있다. 그 죽음의 진상을 밝히려는 투쟁이 이어지던 지난 13일, 2018년 마사대부심사위원회의 심사 결과를
    2020-01-15 17:48
  • [안녕, 블록체인] 범죄를 위한 돈, 민주화를 위한 돈 / 유신재
    ‘검열 저항성’(censorship resistance)은 비트코인을 비롯한 여러 암호화폐의 핵심적인 특징이지만, 여전히 이 용어는 상당히 많은 오해를 받고 있다. 많은 사람들이 비트코인의 거래 내역을 아무도 감시할 수 없다는 의미로 검열 저항성을 이해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오해다.비트코인의 모든
    2020-01-15 17:48
  • [왜냐면] 박병기 원장 ‘왜냐면’에 부쳐: 민주시민교육 성공조건 / 이현종
    이현종 ㅣ 전남 여천고 교사<한겨레> 1월7일치 박병기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장의 ‘왜 다시 민주시민 교육을 말하는가?’는 의미 있는 의견이다. 촛불 혁명이 이뤄지고, 대통령이 바뀌고, 구시대 적폐를 청산하여도 상당수 국민들은 무엇이 바뀐지 모르겠다고 한다. 학교에서도 그렇다....
    2020-01-15 17:48
  • [Photo] 92.5% of irregular workers view S. Korea as “unfair society”
    An overwhelming majority of irregular workers in South Korea view their country as “unfair society.” In a survey of 1,243 irregular South Korean workers, 92.5% of respondents said their country is a
    2020-01-15 17:43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