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 “위안부할머니 여생 편히” 쉼터 건립에 기부행렬
    “전철, 버스, 택시를 타고 3시간만에 도착했을 때 가장 먼저 눈에 들어온 것은 ‘못다핀 꽃’이라는 동상이었어요. (중략) 짧은 영상물을 보면서 (할머니들이) 얼마나 힘들고 고통스런 날을 보냈는지 조금은 알 수 있었고 흘러내리는 눈물은 꾹 참았습니다.” 일본군 성노예로 끌려갔던 할머니들이...
    2005-01-06 22:06
  • 무안반도 통합 다시 ‘뜨거운 감자’
    목표 시민단체·대학 “광역도시” 촉구무안군 “도청이전…자체발전” 시큰둥 전남 목포 시민단체와 대학들이 목포·무안·신안 3개지역을 하나로 묶는 무안반도 통합을 주장하고 나서자, 무안지역 주민들이 반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이 때문에 1994년부터 세차례에 걸쳐 무안반도 통합...
    2005-01-06 21:55
  • 현대중공업 외국인 감독관·가족들 성금 전달
    국내에 거주하는 외국인들도 지진과 해일로 막대한 피해를 당한 남아시아 주민들을 돕고 나섰다. 울산 현대중공업에 근무하는 외국인 공사 감독관 및 가족 등으로 꾸려진 울산거주외국인회는 지난 5일 울산 동구 서부동 현대외국인사택에서 대한적십자사에 성금 150만원과 옷과 침구류 500여벌을...
    2005-01-06 21:46
  • ‘힘자랑’ 정신팔린 인도 정부
    “도움 필요없다” 되레 구호 나서 안다만 일대 영향권 장악 의도 안보리 상임이사국 진출 야심도 해일피해로 인한 인도 공식 사망자가 9571명을 넘어서고 있는 가운데 수색·구조작업이 예상치 못한 난관에 봉착했다. 도로 파손과 공항 활주로에 생긴 균열로 안다만과 니코바르섬에 대한 구호품...
    2005-01-06 21:42
  • 최악피해 ‘아체’ 관리들 구호품을 돈받고 팔아
    이번 해일로 가장 큰 피해를 입은 인도네시아 아체주에서 일부 관리들이 국제사회가 지원한 구호식량을 피해자들에게 돈을 받고 파는 등 관련국 정부의 부정부패로 구호활동이 위협받을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 인권 감시기구인 포럼-아시아는 “반다 아체의 술탄 이스칸다르 무다 공항 관리들이...
    2005-01-06 21:40
  • 미리 보는 올해의 기대작 5선
    공공의 적2 정의없는 사회에 메스 ‘강우석의 승부수’ ‘승부사’ 강우석에겐 승부를 낼 때마다 위기가 찾아온다. 의 성공에도 불구하고 지난해 그가 이끄는 시네마서비스의 자금사정 등 제반 여건이 안 좋아졌다. 에 다시 승부를 걸면서 그가 준비한 비장의 무기는 ‘사회적 메시지’이다....
    2005-01-06 21:26
  • 영화제작자들이 뽑은 2005 화제작
    닭모가지를 비틀어도 영화는 뛴다 새해의 경기 전망이 어둡지만 영화만은 움추러들 줄 모른다. 구제금융 시기인 1998~99년에도 한국영화는 위축되기는커녕 오히려 새롭게 비약하면서 ‘한국영화 르네상스’를 열어제쳤다. 다시 불황이 찾아온 새해엔 유달리 화제작과 문제작이 많다. 박찬욱,...
    2005-01-06 21:13
  • 봄빛 두른 거제도
    동백꽃 붉은 가슴대구떡국 별미일세 거제도는 한겨울에도 봄빛을 두르고 있는 섬이다. 동백꽃이 있기 때문이다. 1월중에 거제도를 여행한다면 동백꽃 감상과 함께 또다른 즐길거리 몇가지를 덤으로 만날 수 있다. ● 동백꽃 =거제도는 산과 들은 물론, 어지간한 길이면 대개 동백나무가 가로수로...
    2005-01-06 21:08
  • 거제도, 대구가 돌아왔다…와 이리 좋노∼
    “대구가 이래 마이 잡히긴 진짜 오랜만입니더. ‘금대구’ 마이 잡으니 억쑤로 좋네예.” 입 크고, 덩치 크고, 값도 비싼 대구. 탕으로 끓이면 끝내주는 국물맛으로 제값을 하는 대구가 떼지어 몰려와 어민들과 미식가들의 입을 벌어지게 하고 있다. 경남 진해만 거제도 앞바다에서 근래 보기 드문...
    2005-01-06 21:05
  • 빙어·송어 겨울 낚시축제들 활짝
    손맛 아른? 꾼들 모여! 1월은 눈의 달이자 축제의 달이다. 눈과 겨울을 주제로 한 축제들이 해마다 규모를 키우며 관광객들을 끌어모으고 있다. 빙어·산천어 등을 주제로 한 축제에 참가하면 낚시체험과 시식회, 전통 겨울 체험 등을 다채롭게 즐길 수 있다. 자녀를 동반한 가족 나들이 코스로...
    2005-01-06 20:51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