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 순간] 21대 총선 앞두고 돌아본 4년 전 약속들
- `민주주의의 꽃'이라는 선거, 그중에서도 제21대 국회의원 선거가 96일 앞으로 다가왔다. 9일 현재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등록한 예비후보자 수는 253개 선거구, 모두 1030명에 이른다. 치열한 겨룸 끝에 이들 중 일부가 4월15일 국민의 선택을 받을 것이다.20대 국회의 끝자락에서 국회의원 후보자들이
- 2020-01-10 08:16
-

- 트럼프, 정의용 안보실장 백악관 ‘깜짝 면담’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8일(현지시각)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을 만났다고 백악관이 밝혔다.백악관은 트럼프 대통령이 정 실장, 기타무라 시게루 일본 국가안전보장국장과 잠시 만났다고 8일 밤 기자들에게 알렸다. 이번 면담은 정 실장이 한·미·일 고위급 안보 협의를 하기 위해...
- 2020-01-10 08:00
-

- 음악은 13가지 감정을 일으킨다
- 음악은 사람의 감정을 뒤흔드는 주요한 매개체다. 멜로디와 리듬, 가사가 어우러져 내는 천변만화의 노래와 음악은 때론 눈물을 자아내고, 때론 마음을 안정시켜준다. 또 어떤 음악은 몸을 들썩이게 하지만, 어떤 음악은 짜증을 유발한다. 말 없는 보편언어라는 음악은 과연 얼마나 다양한 감정을
- 2020-01-10 08:00
-

- [한 장면] 시간과 정치
- 우리는 정치적 실행이란 것이 종종 베틀처럼 예상한 것과 예상치 못한 것 사이를 오가며 두 방향으로 베를 짠다는 사실을 너무 쉽게 잊는다. (20쪽)몇 시인가요? 존 버거 지음, 마리아 나도티 엮음, 셀축 데미렐 그림, 신해경 옮김/열화당·1만5000원 존 버거(John Berger)와 셀축 데
- 2020-01-10 06:01
-

- 자존심을 지키며 사는 일
- 너의 거기는 작고 나의 여기는 커서 우리들은 헤어지는 중입니다김민정 지음/문학과지성사(2019)최근에 나온 김민정의 시집을 읽다가 지상에 사는 이들이 끝내 지켜야 할 자존심에 대해 생각했다. 사는 일이란 쓰고 떫은 맛을 견디다가 급기야는 그 쓰고 떫은 맛에 배인 그윽함을 향유할 줄 알아가는...
- 2020-01-10 06:01
-

- 질문을 품을 때 과학이 탄생한다
- 통합하고 통찰하는 통통한 과학책 1·2정인경 지음/사계절·각 권 1만4500~1만5500원소크라테스가 당대에 가장 현명한 사람이라 불렸던 까닭은 ‘무지의 지’에 있었다. 내가 모른다는 것을 아는 것이 지혜의 원천이었다. 모르는 것을 안다는 데서 질문이 생겨났고, 질문에서 과학이 탄생했다.
- 2020-01-10 06:01
-

- 부모가 만든 세계 깨고…‘진정한 자아’ 만들어간 여성
- 배움의 발견타라 웨스트오버 지음, 김희정 옮김/열린책들·1만8000원한 번도 학교에 다녀본 적이 없었던 15살 소녀 타라에게 먼저 세상으로 나간 오빠 타일러가 말한다. ‘집 바깥의 세상은 넓다’고. ‘아버지가 자기 눈으로 보는 세상에 대해 속삭이는 것을 더 이상 듣지 않으면 세상이 완전히 달라 보
- 2020-01-10 06:01
-

- 온갖 어려움 넘어 온 ‘정신질환자 해방’에 관한 이야기
- 정신병원을 폐쇄한 사람존 풋 지음, 권루시안 옮김/문학동네·2만5000원이탈리아 정신의학자 프랑코 바잘리아는 1961년 말 고리치아 정신질환자 보호소 소장으로 부임한 뒤 충격에 빠졌다. 파시스트 정부에서 투옥을 경험한 그에게 그곳은 감옥과 다르지 않았다. 창살에 갇힌 ‘환자’가 고문
- 2020-01-10 06:01
-

- “전체주의는 내부로부터 무너진다”
- 증언들마거릿 애트우드 지음, 김선형 옮김/황금가지·1만5000원캐나다 작가 마거릿 애트우드의 소설 <시녀 이야기>(1985)의 결말은 주인공인 ‘시녀’ 오브프레드가 임신한 상태에서 비밀 조직의 도움을 받아 전체주의 국가 길리어드에서 탈출하고자 길을 나서는 장면이다. “이것이 내 끝이...
- 2020-01-10 06:01
-

- [책지성팀장의 책거리] 거대한 질문
- 명상 프로그램 안내자가 물었습니다. 이 사과는 누가 만들었나요? 농부가요, 자연이요…. 대답이 속출했지만 정답은 ‘온 우주’였습니다. “당신도 똑같습니다. 온 우주가 움직여 당신을 만들었습니다.” 큰 감동을 받았지만 너무 막연한 이야기라 허무하기도 했습니다. 역사학자 데이비드...
- 2020-01-10 06:01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