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광고

  • “중국의 국경절, 홍콩인엔 의미없다”…수십만명 운집…민주화 열망 토해
    1일 아침 8시(현지시각) 렁춘잉 홍콩 행정장관은 국경절 65돌을 기념하는 중국 국기 게양식에 참석했다. 경찰들이 둘러싼 행사장 밖에선 수백명의 시위대가 ‘렁춘잉 물러나라’는 구호를 외쳤...
    2014-10-01 22:25
  • [포토] 중국 지도부 단합 과시
    시진핑(오른쪽 둘째) 중국 국가주석과 장쩌민(가운데), 후진타오(맨 왼쪽) 전 주석, 주룽지(맨 오른쪽) 전 총리 등 중국 전·현직 최고 지도부가 30일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열린 국경절 기...
    2014-10-01 21:33
  • “중국 정부, 홍콩 민주주의 수준 무시…시민들 인내심 한계점…시위로 표출”
    “보십시오. 이게 바로 억눌려온 홍콩 시민의 소리입니다.” 30일 밤 폭우 속에서도 홍콩 도심 공민광장에 모인 수만명의 시민, 학생들이 꼼짝하지 않고 자리를 지키자 청킴와 홍콩이공대 교...
    2014-10-01 20:10
  • “비바람 몰아쳐도 자유는 꽃필 것”
    홍콩 시위에는 사회자도, 대형 스피커를 통한 격정적인 연설이나 일사불란한 구호도 없다. 하지만 시민들의 간절한 바람과 열망 그리고 마음 한편의 불안감은 시위 장소 주변 곳곳에 빼곡히 ...
    2014-10-01 20:09
  • ‘홍콩판 국가보안법’ 저지 경험…‘우산혁명’의 밑거름
    1997년 영국 식민통치에서 벗어나 중국에 ‘귀환’한 뒤 홍콩 시민들은 민주주의를 잃지 않기 위해 중국 당국과 팽팽한 긴장을 유지해 왔다. 이번 ‘우산혁명’은 그 정점이다. “중국에서 정부에 맞서는 싸움은 이길 수 없다는 게 상식...
    2014-10-01 19:58
  • “10년 뒤 초등생들 시위 보고싶지 않아”
    17살 청소년에서 70살 노목사까지 홍콩 ‘우산혁명’의 주역들이 주목받고 있다. 이번 시위를 전면적으로 주도하는 단일 정치조직이나 특정 사회단체는 눈에 띄지 않는다. 대신 대학생과 직장인, 중·고등학생까지 포함하는 다양한 그룹...
    2014-10-01 19:55
  • [바로잡습니다] 장쩌민 전 중국 국가주석 건재
    <한겨레>는 추석 연휴였던 9월7일 인터넷과 모바일을 통해 ‘장쩌민 전 중국 국가주석의 사망설’(▶ [긴급] 장쩌민 전 중국 국가주석 사망설…지병 악화)을 보도했습니다. 당시 중국 공산당 사정에 정통한 소식통이 정보를 제공했...
    2014-10-01 16:28
  • 인터넷 접속 않고 쓰는 채팅앱 사용 급증
    홍콩 시위 확산 이후 중국 본토에서 인터넷 검열이 강화되자, 홍콩에서 인터넷에 접속하지 않고도 메시지를 보낼 수 있는 채팅 애플리케이션 사용이 급증하고 있다. <뉴욕 타임스>는 홍콩에서 하루 만에 10만명이 오프라인 채...
    2014-09-30 20:13
  • “가짜 민주주의는 가라” 홍콩 도심 메운 분노의 물결
    “우르릉 쾅”, “펑펑”. 30일 저녁 7시20분께 5만명이 넘는 시위대가 빽빽이 들어찬 홍콩 중심가 센트럴의 공민광장에 갑자기 굉음이 울려퍼졌다. 경찰의 최루탄 발사가 시작됐구나, 생각하...
    2014-09-30 20:11
  • 중-대만관계에도 불똥…시진핑 ‘일국양제 원칙’ 시험대
    정치적 자유를 요구하는 홍콩 시민들의 대규모 시위는 2017년 행정장관 직선제 선거 후보자를 친중국계 인사로 제한하겠다는 지난달 중국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 결정이 도화선이 됐다. 1...
    2014-09-29 21:52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