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독자기자석] 한국의 집시법은 기본권 제약 심해
- 평화시위를 위해 세계적으로 유례가 없는 집시법과 전투경찰제도부터 폐지해야 한다는 필자의 칼럼(〈한겨레〉 8월25일치)에 대해 경찰대학 치안정책연구소 이성용 연구관이 반론(8월29일치)을 제기했다. 반론도 관심의 표현인 만큼 ...
- 2006-09-08 18:29
-
- ‘민영의료보험법’ 제정의 부당성
- * 9월1일자 29면 왜냐면입니다.
열린우리당 장복심 의원이 발의하려는 ‘민영의료보험법’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다. 물론 입법에 관한 사항은 국회의 몫이다. 그러나 그 제정 목적이 공명정대한지에 대한 사회적 합의 절차 수행과 ...
- 2006-09-08 16:43
-
- 중소기업 기술지원 인색해선 안돼
- * 9월1일자 29면 왜냐면입니다.
지난 8월21일 대구에서 부산의 신발피혁연구소, 대구의 섬유개발연구원과 염색기술연구소, 광주의 한국광기술원, 진주의 견직연구원, 익산의 니트산업연구원 등 지방에 있는 기술연구소 8곳의 책임...
- 2006-09-08 16:43
-
- ‘공주대 역설’에 대한 반론
- * 9월1일자 29면 왜냐면입니다.
지난 8월21일치 〈한겨레〉에 실린 영산대 한양환 교수의 ‘국토균형발전의 공주대 역설’이라는 기고의 내용 중 몇 가지 오류를 지적하고 글의 전반에 걸친 결례에 항의하고자 한다.
국립 공주대...
- 2006-09-08 16:36
-
- [왜냐면] 진폐환자 ‘우울증 자살’을 막아달라
- 사전통보제는 한국과 일본이 같은 권리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서로 인정해야 성립된다. 성립되는 즉시 독도와 그 수역에 대한 대한민국 영토주권의 배타성은 훼손된다.
우울증 진폐환자의 자살이 갈수록 심각해지는 상황이다. 그러나...
- 2006-09-07 21:52
-
- [왜냐면] 사전통보제 합의는 독도 포기 지름길
- 사전통보제는 한국과 일본이 같은 권리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서로 인정해야 성립된다. 성립되는 즉시 독도와 그 수역에 대한 대한민국 영토주권의 배타성은 훼손된다.
한국과 일본은 지난 4~5일 서울에서 배타적경제수역(EEZ) 경계...
- 2006-09-07 21:48
-
- [왜냐면] 민영의보법은 소비자 권익의 보루
- 우리나라에서도 민영 의료보험법을 제정하여 보험상품을 표준화하고 유형화하여 보험 소비자의 상품 선택·판단 기준을 명확히해야 한다. 이는 보험 소비자의 피해를 예방할 수 있는 동시에 구제 방법 또한 정형화할 수 있다.
지난 1...
- 2006-09-07 21:46
-
- [왜냐면] 일본의 상반되는 센카쿠·독도 전략
- 일본의 논리는 모순적이다. 자신들이 실효적으로 점유한 센카쿠 제도 주변에 대해서는 중국에 EEZ 경계 설정을 위한 협상을 요구하지도 않으면서, 한국이 실효적으로 지배하고 있는 독도 주변 해역에 대해서는 도전적으로 EEZ 경계 설...
- 2006-09-04 18:26
-
- [왜냐면] 송경동 시인을 위한 변명
- 그는 우리 시대의 문제에 적극적으로 관심을 보이면서 자신의 마음을 시로 노래하며 살고 있는 시인이다. 그런데 그에게 경찰 소환장이 날아왔다 … 시인이 죽은 시대는 암울한 시대다.
한때 몸을 팔아 살아가는 성매매 여성들의 얘기...
- 2006-09-04 18:24
-
- [왜냐면] ‘국제중’ 설립, 누구를 위한 결정인가
- 대학입시라는 열아홉살 고3의 스트레스도 버거운 아이들에게 이제는 열여섯살 중3의 특목고 입시 경쟁에 더해 열세살 초등학생의 국제중 입시경쟁까지 추가된 것이다.
특목고 논란이 채 가라앉기도 전에 서울시 교육청은 끝내 ‘국제...
- 2006-08-28 18:31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