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광고

  • 최초 복제견 ‘스너피’의 복제견 탄생
    2005년 최초의 복제견으로 태어난 ‘스너피(Snuppy)’를 다시 복제한 재복제견들이 태어났다. 이병천 서울대 수의대 교수 연구진은 스너피의 체세포를 이용한 핵치환 복제 기법으로 스너피를 ...
    2017-11-23 14:54
  • ‘올해의 세계 건물’에 흙집이 뽑혔다, 왜?
    세계 최대 건축 경진대회 가운데 하나인 제10회 세계건축축제(WAF)에서 그랑프리인 '올해의 세계 건축물' (World Building of the Year)에 중국의 흙집이 선정됐다. 홍콩중문대가 윈난성 쿤...
    2017-11-23 07:01
  • 면역세포, 제몸 터트려 뿜어낸 ‘DNA 그물’로 병원체 포획
    동그란 공 모양의 면역세포인 ‘호중구(Neutrophil)’는 백혈구의 일종으로, 혈관 안에서 미생물 병원체의 침입에 대항하는 최전방의 면역세포로 알려져 있다. 혈류를 따라 돌아다니다가 침입...
    2017-11-22 13:50
  • 외계에서 온 첫 ‘인터스텔라 소행성’이 발견됐다
    지난달 태양계 바깥에서 날아와 포착된 첫 번째 성간 천체는 매우 길쭉한 방망이 모양을 하고서 회전하는 검붉은 소행성인 것으로 분석됐다. 이 독특한 천체는 지난달 19일 미국 하와이대학...
    2017-11-21 13:38
  • “지구 속 ‘물 먹는 광물’이 지진을 일으킨다”
    국내 연구진이 주도한 국제공동연구팀이 지구 속 깊은 곳에 존재하는, ‘물 먹는 광물’을 처음 발견했다. 또 이 초수화 광물이 맨틀로 변하는 과정에 머금었던 물을 분출해 지표의 화산과 지...
    2017-11-21 11:51
  • 치태 1g에 미생물 100억마리…알수록 칫솔에 손이 가는 놀라운 생태계
    “입안에 미생물(세균)을 모두 없애면 구강질환도 모두 없어질 거라고 생각할 수 있어요. 하지만 그렇게 되면 입 바깥에 있는 갖가지 미생물들이 경쟁자 없는 입안에 손쉽게 정착해 새로운 세...
    2017-11-20 07:00
  • 110년 전 미국인이 쓴 ‘우리말’ 천문학 책
    토성에 멋진 테가 있다는 사실은 누구나 알고 있다. 천체망원경을 통해 직접 눈으로 본 사람은 그리 많지 않더라도 토성의 테 자체는 천문학 상식 중의 하나다. 또한 태양의 둘레를 도는 행...
    2017-11-19 15:33
  • 나비 날개 ‘자연모방’으로 광전지 광흡수율 200% 높여
    기후변화를 억제하기 위해 온실가스를 배출하는 화석에너지를 태양광, 풍력, 해양력 등의 재생가능에너지로 전환하려는 노력이 곳곳에서 활발하게 펼쳐지고 있다. 그러나 여러가지 한계로 인...
    2017-11-16 14:37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