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광고

  • ‘뇌를 너무 쉽게 봤다’ 연구부실 비판논문
    논문 한 편 때문에 마음과 뇌를 연구하는 신경과학계가 새해 벽두부터 술렁이고 있다. 어떤 감정이나 행동이 뇌의 어느 특정 부위에서 생겨난다는 일부의 뇌영상(fMRI) 연구 논문들에 잘못된...
    2009-01-28 08:32
  • 우리 몸, 솔직하게 본다
    미술가와 사진작가의 해부 그림·사진 전시회가 열리고 있다. 의대 해부실에서 오래 활동해 온 회화작가 윤관현(39)씨와 사진작가 이재하(42)씨는 다음달 13일까지 서울 을지로 국립의료원 엔...
    2009-01-27 18:31
  • 2009년에는 1초가 늘어난다?
    저는 시계입니다. 그래요. 똑딱똑딱 하면서 움직이는 바로 그 시계죠. 매일 86,400초를 똑딱거리면 1,440분, 즉 24시간이 지나가고 24시간 365번 반복되면 1년이 지나갑니다. 365일 중간에 7...
    2009-01-23 17:13
  • 터치스크린 독립 선언 앞당긴 CNT 투명전극 제조기술
    액정화면이나 문자판에 손가락을 접촉시켜 작동시키는 터치스크린은 IT기기의 필수 트렌드로서 최근 ‘터치폰’이나 네비게이션 등에 사용되어 젊은 층뿐만 아니라 중장년층에게도 큰 인기를 ...
    2009-01-19 18:08
  • 겨울철엔 빙어도 부동액을 체크한다
    보통 우린 식물은 수동적이고 동물은 능동적일 것이라는 선입관을 가지고 산다. 하지만 식물 역시도 동물과 거의 비슷한 세포조직을 가진 살아 숨 쉬는 생명체이고, 비록 느리긴 해도 주위 ...
    2009-01-16 18:10
  • 나노소자 그래핀 ‘큰 면적 제조’ 기술 첫 개발
    실리콘을 대체할 나노 신소재 가운데 하나로 주목받는 ‘그래핀’을 넓은 면적으로 제조하는 기술이 개발돼, 휘는 디스플레이나 입는 컴퓨터의 실현에 한발 더 다가섰다. 성균관대 성균나노...
    2009-01-15 07:16
  • [단독] 프로토케라톱스 성체 발굴, ‘한반도 공룡’ 풀 열쇠
    백악기 시대 초식공룡인 프로토케라톱스 화석의 발견은 국내 최대의 공룡 집단 산란지로만 알려져온 시화호 일대는 물론 한반도에서 활동한 공룡의 의문점을 푸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라는...
    2009-01-15 07:04
  • [단독] 공룡 프로토케라톱스 화석 국내 첫 발견
     경기 시화호 일대에서 백악기 초식 공룡인 프로토케라톱스의 발과 꼬리뼈 등 몸통의 절반쯤 되는 화석이 발견됐다. 남한에서는 1983년 경북 의성의 ‘울트라 사우루스 탑리 엔시스’와 2005...
    2009-01-15 06:57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