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광고

  • “20년뒤 ‘인공태양’가시화…에너지 혁명 일어난다”
    ‘태양을 상자 안에다 담겠다고 한다. 생각은 멋지다. 그런데 어떻게 (태양을 담을) 상자를 만들지?’ 프랑스의 노벨물리학상 수상자 피에르질 드젠이 태양의 핵융합 반응을 지상에서 구현해 ...
    2007-11-01 14:05
  • “2015년까지 핵융합 실험로 건설”
    국제핵융합실험로(이터·ITER) 기구가 핵융합 에너지 공동연구 구상이 처음 제안된 지 20여년 만인 지난 24일 공식 출범을 선언했다. 우리나라와 유럽연합·미국·러시아·중국·일본·인도 등 7...
    2007-11-01 14:03
  • ‘11월 과학기술자상’ 선우명호 교수
    선우명호(54) 한양대 자동차공학과 교수가 과학기술부와 한국과학재단이 주는 ‘이달의 과학기술자상’ 11월 수상자로 선정됐다. 과학기술부는 선우 교수가 자동차 전자제어장치들의 동작을 ...
    2007-10-31 18:59
  • 공기방울이 잠수함 잡는다!?
    군사 전문가들은 현대전에서 가장 무서운 군사 무기 중의 하나로 잠수함을 뽑는다. 잠수함이 무서운 이유는 상대방의 눈에 보이지 않는 은밀성에 있다. 은밀하게 숨어 한 명씩 정확하게 사살...
    2007-10-31 18:11
  • 천문연구소 “홈즈혜성 맨눈으로 관측 가능”
    한국천문연구원은 주기 혜성인 `p17/Homles'가 급격한 방출현상으로 2등급까지 밝기가 밝아져 맨눈으로도 관측이 가능해 졌다고 31일 밝혔다. 평상시 17등급 정도로 구경 1m 이상의 ...
    2007-10-31 17:08
  • 한-러 손잡고 우주개발 협력
    김우식 과학기술 부총리(오른쪽)는 30일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에서 아나톨리 니콜라예비치 페르미노프(왼쪽) 러시아 연방우주청 장관과 한·러 장관 회담을 열어 두 나라의 우주개발 협력 ...
    2007-10-30 18:50
  • 항생제 내성균 먹는 ‘박테리오파지’
    아폴로 11호의 달착륙선을 기억하는가. 각진 몸통에, 옆으로 게 다리처럼 생긴 착륙용 다리가 비죽이 나와 있다. 그런데 이 아폴로 11호의 달착륙선과 꼭 닮은 생물이 있다. 그것도 크기가 0...
    2007-10-29 17:57
  • 세포 생존 돕는 단백질 발견
    포유류의 세포 안에서 세포 생존을 도와, 노화나 당뇨 같은 퇴행성 질환의 치료에 이용될 만한 새 단백질이 발견됐다. 엄수종 세종대 생명공학과 교수( 사진)와 김은주 연구교수는 28일 “...
    2007-10-28 19:42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