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검색
광고
전체보기
제목만 보기
사진기사 보기
RSS
도움말
빛을 공진기에 1천배 이상 오래 가두는 기술 개발
국내 연구진이 공진기에 빛을 1천배 이상 오래 가둬 레이저용 초정밀 빛을 생성할 수 있는 공진기 설계 기술을 개발했다. 최무한 경북대 전자공학부 교수와 민범기 한국과학기술원(카이스...
2016-10-03 12:01
‘갈고리 손’ 달린 공룡 화석 발견
네 발 달린 동물들과 다른 진화를 보이는 ‘갈고리 손 공룡’ 화석이 발견됐다. 미국 예일대 연구팀은 뉴멕시코주 한 채석장에서 오늘날의 개미핥기처럼 갈고리 모양의 발톱으로 나무껍질에서 ...
2016-10-03 09:26
남대문에 원폭 떨어지면…자동차 내렸다가 타고 가라?
‘냉전’이라는 말이 어느덧 아련해졌다. 2차 대전 이후부터 1990년대 초 동구권이 몰락할 때까지의 세계정세는 이 ‘냉전’이라는 한마디로 표현된다. 이 시기에 미국과 옛 소련을 비롯한 여러 ...
2016-10-03 09:25
‘삼다도’가 실패하면 한국도 실패한다
제주도는 전기자동차를 도입하기에 최적의 입지를 두루 갖췄다. 바꿔 말해 이런 제주도가 전기차 전환에 더디거나 난항을 겪는다면 다른 곳들은 그보다 더 어려울 것이라는 얘기다. 우리나라...
2016-10-03 09:25
받는 나라만 받는 노벨상, 그 이유는 젊은 과학자
120년 전 스웨덴의 부호 알프레드 노벨의 유언장에서 시작된 노벨상은 과학 분야에서 1901년부터 지난해까지 115년 동안 583명의 수상자를 배출했다. 100년째인 2000년까지 노벨 과학상은 미...
2016-10-03 09:25
바람으로 달리는 제주 전기차, 충전은 진땀납니다
달조차 보이지 않는 밤이었다. 옆자리 아내의 얼굴은 창백했다. 여행 내내 비친 미소가 자취를 감췄다. “무섭나 보구나? 하하, 여기 있어. 갔다 올게.” 호기롭게 차 밖으로 나섰지만, 긴장하...
2016-10-03 09:24
[유레카] 기다림의 미학 / 이근영
2016년 노벨상이 시작된다. 3일 생리·의학상에서부터 4일 물리학상, 5일 화학상으로 이어진다. 이맘때면 한국 과학자들은 ‘가슴앓이’를 한다. 20 대 0. 일본과 한국의 노벨 과학상 성적이다....
2016-10-02 16:13
개천절에 하늘도 맑게 갠다
‘하늘이 열린’ 개천절인 3일, 연휴 동안 내리던 비가 그칠 전망이다. 기상청은 서울, 경기도를 시작으로 3일 낮이면 전국 대부분 지역에서 비가 그친 뒤 흐리겠다고 2일 밝혔다. 오전 강수확률은 60~90%다. 하지만 2일 오후 서울 ...
2016-10-02 10:59
수소로 나는 전기비행기 떴다
수소를 연료로 쓰는 전기비행기가 첫 시험비행에 성공했다. 독일의 항공기제조업체와 연료전지 개발진, 대학 연구진이 함께 개발한 4인승 수소연료전지 비행기 ‘ HY4’가 지난 9월29일 오전 1...
2016-10-02 09:28
당신의 뇌를 컴퓨터에 ‘업로딩’할 수 있을까
공상과학 소설가 아서 클라크가 쓴 <도시와 별>에는 흥미로운 미래가 등장한다. 온통 사막으로 변한 지구. 인간은 ‘다이어스파’라는 지하도시를 만들어 생활한다. 이 도시를 운영하는 ...
2016-10-01 09:57
전체보기
제목만 보기
사진기사 보기
RSS
도움말
맨앞으로
이전으로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다음으로
맨뒤로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