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검색
광고
전체보기
제목만 보기
사진기사 보기
RSS
도움말
고리와 위성, 소외되기엔 너무나 매혹적인
토성에 딸린 유독 크고 아름다운 고리는 대부분이 먼지와 얼음으로 이뤄져 있다. 거대한 가스 위성에 딸린 먼지와 얼음의 고리는 위성이 부서져 만들어졌다는 설이 유력하다. 이 고리에선 다...
2015-12-18 14:59
올해 과학기술계 최대 화두는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
올해 과학기술계 최대 화두로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가 꼽혔다. 세계 양대 과학저널인 <사이언스>와 <네이처>는 17일(현지시각) 각각 ‘올해의 10대 획기적 과학 연구 성과’와 ...
2015-12-18 08:54
“국내 첫 ‘컴퓨터바이러스’ 기사 썼더니 ‘생물인가 아닌가’ 했었죠”
김두희(58·사진) 동아사이언스 대표의 이력서는 단출하다. 학력란에는 경기고와 서울대 토목공학과 졸업, 경력란에는 <과학동아> 기자와 동아사이언스 대표이사 단 네 줄이다. 과학동...
2015-12-15 20:27
햇빛 받아 수소 만드는 ‘인공나뭇잎’ 신기술 개발
물속에서 햇빛을 받아 수소를 생산하는 ‘인공나뭇잎’의 효율을 높이는 새로운 기술이 개발됐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15일 이재성 에너지 및 화학공학부 교수 연구팀이 햇빛을 이용해 ...
2015-12-15 11:27
과학 속 여성은 왜 소수인가…‘평행 우주 속의 소녀’
퀴리부인 같은 유명한 여성 과학자가 있기는 하지만 여전히 이공계 분야에서 여성은 소수자다. 우리나라는 아시아 국가 가운데서도여성 과학기술인의 참여도가 낮은 편이다. 여성과학도들은 모두 어디로 갔을까. 15일 도서출판 이새...
2015-12-15 09:02
서머타임 하면 교통사고 준다?
서머타임 하면 교통사고 준다? 영국에서는 1968~1971년 동안 1년 내내 1시간을 앞당기는 실험을 했다. 유럽 표준시와 맞추기 위해서다. 서머타임 기간에는 2시간이 앞당겨진 셈이다. 영국 ...
2015-12-13 20:40
시간 역주행 ‘썸? 뭐? 타임’이 햇빛 아껴준다고?
미국 정치가이자 과학자인 벤저민 프랭클린은 1784년 프랑스 주재 미국대사로 파리에 머물 때 ‘절약 프로젝트’라는 글에서 시간을 앞당겨 일찍 일어나고 일찍 잠들면 양초를 아낄 수 있다는 ...
2015-12-13 20:37
그 아이디어는 천장이 높은 곳에서 떠올랐다
2006년 10월, 전세계에게 가장 큰 학회인 미국신경과학회에 세계적인 건축가 프랭크 게리가 기조강연을 한다는 소식에 신경과학자들은 들떠 있었다. 강연 제목은 ‘신경과학과 건축’. 아니, ...
2015-12-11 19:48
무인자동차가 운행 중 사람을 치어 다치게 하면 누구 책임?
무인자동차가 잇따라 개발되고 있다. 메르세데스벤츠와 테슬라는 이미 자체 제작 무인차를 모터쇼에도 가지고 나갔다. 구글의 무인차는 미국 샌프란시스코 주변을 시험주행 중이다. 한국의 ...
2015-12-11 15:40
우리가 탑승한 ‘팽창풍선’의 끝은 어디인가
▶ 우주는 점점 커지고 있다. 그것도 점점 빠른 속도로. 이 영원한 팽창의 비밀은 아직 아무도 모른다. 어쩌면 우린 천동설과 지동설을 두고 논란을 벌였던 과거 우주론의 수준에서 크게 나아...
2015-12-04 14:09
전체보기
제목만 보기
사진기사 보기
RSS
도움말
맨앞으로
이전으로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다음으로
맨뒤로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