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광고

  • 고리와 위성, 소외되기엔 너무나 매혹적인
    토성에 딸린 유독 크고 아름다운 고리는 대부분이 먼지와 얼음으로 이뤄져 있다. 거대한 가스 위성에 딸린 먼지와 얼음의 고리는 위성이 부서져 만들어졌다는 설이 유력하다. 이 고리에선 다...
    2015-12-18 14:59
  • 올해 과학기술계 최대 화두는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
    올해 과학기술계 최대 화두로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가 꼽혔다. 세계 양대 과학저널인 <사이언스>와 <네이처>는 17일(현지시각) 각각 ‘올해의 10대 획기적 과학 연구 성과’와 ...
    2015-12-18 08:54
  • “국내 첫 ‘컴퓨터바이러스’ 기사 썼더니 ‘생물인가 아닌가’ 했었죠”
    김두희(58·사진) 동아사이언스 대표의 이력서는 단출하다. 학력란에는 경기고와 서울대 토목공학과 졸업, 경력란에는 <과학동아> 기자와 동아사이언스 대표이사 단 네 줄이다. 과학동...
    2015-12-15 20:27
  • 햇빛 받아 수소 만드는 ‘인공나뭇잎’ 신기술 개발
    물속에서 햇빛을 받아 수소를 생산하는 ‘인공나뭇잎’의 효율을 높이는 새로운 기술이 개발됐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15일 이재성 에너지 및 화학공학부 교수 연구팀이 햇빛을 이용해 ...
    2015-12-15 11:27
  • 과학 속 여성은 왜 소수인가…‘평행 우주 속의 소녀’
    퀴리부인 같은 유명한 여성 과학자가 있기는 하지만 여전히 이공계 분야에서 여성은 소수자다. 우리나라는 아시아 국가 가운데서도여성 과학기술인의 참여도가 낮은 편이다. 여성과학도들은 모두 어디로 갔을까. 15일 도서출판 이새...
    2015-12-15 09:02
  • 서머타임 하면 교통사고 준다?
    서머타임 하면 교통사고 준다? 영국에서는 1968~1971년 동안 1년 내내 1시간을 앞당기는 실험을 했다. 유럽 표준시와 맞추기 위해서다. 서머타임 기간에는 2시간이 앞당겨진 셈이다. 영국 ...
    2015-12-13 20:40
  • 시간 역주행 ‘썸? 뭐? 타임’이 햇빛 아껴준다고?
    미국 정치가이자 과학자인 벤저민 프랭클린은 1784년 프랑스 주재 미국대사로 파리에 머물 때 ‘절약 프로젝트’라는 글에서 시간을 앞당겨 일찍 일어나고 일찍 잠들면 양초를 아낄 수 있다는 ...
    2015-12-13 20:37
  • 그 아이디어는 천장이 높은 곳에서 떠올랐다
    2006년 10월, 전세계에게 가장 큰 학회인 미국신경과학회에 세계적인 건축가 프랭크 게리가 기조강연을 한다는 소식에 신경과학자들은 들떠 있었다. 강연 제목은 ‘신경과학과 건축’. 아니, ...
    2015-12-11 19:48
  • 무인자동차가 운행 중 사람을 치어 다치게 하면 누구 책임?
    무인자동차가 잇따라 개발되고 있다. 메르세데스벤츠와 테슬라는 이미 자체 제작 무인차를 모터쇼에도 가지고 나갔다. 구글의 무인차는 미국 샌프란시스코 주변을 시험주행 중이다. 한국의 ...
    2015-12-11 15:40
  • 우리가 탑승한 ‘팽창풍선’의 끝은 어디인가
    ▶ 우주는 점점 커지고 있다. 그것도 점점 빠른 속도로. 이 영원한 팽창의 비밀은 아직 아무도 모른다. 어쩌면 우린 천동설과 지동설을 두고 논란을 벌였던 과거 우주론의 수준에서 크게 나아...
    2015-12-04 14:09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