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검색
광고
전체보기
제목만 보기
사진기사 보기
RSS
도움말
신비동물이 따로 있나…멸종하면 모두 상상 속으로
‘자연사’(natural history)라는 과학 분야가 있다. 자연에 있는 생물이건 무생물이건 우리가 모르는 것들을 탐구하는 아주 오랜 전통의 학문이다. 근대 과학이 태동하면서 우리는 자연에 대...
2014-04-22 19:43
빅뱅과 급팽창이 그리는 태초 우주 모습
우주의 시초는 어떤 모습이었을까요? 태초의 한 장면을 엿보는 연구 결과가 최근 발표됐습니다. 지난달 미국 천체물리학 연구진이 우주에서 오는 빛에서 우주 탄생의 빅뱅(대폭발) 직후에 생...
2014-04-22 19:38
발 6개 해저탐사용 ‘게로봇’
세월호 구조작업 투입
세월호 수색·구조 작업에 게 모양의 해저탐사용 로봇 ‘크랩스터’(Crabster CR200)가 22일 사고 해역 현장에 투입된다. 크랩스터는 지난해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이 개발한 것으로 아직 시제품 단계이다. 하지만 상황이 워낙 다급...
2014-04-22 14:47
전국에 일본뇌염 주의보…부산서 올해 첫 모기 발견
일본 뇌염을 옮기는 모기가 올해 들어 부산 지역에서 처음으로 확인됐다. 보건당국은 즉각 일본 뇌염 주의보를 발령했다. 질병관리본부는 지난 18일 부산 지역에서 일본뇌염 모기를 발견했...
2014-04-21 15:10
과학·정보통신의날 95명 포상
정부는 ‘제47회 과학의 날’(21일)과 ‘제59회 정보통신의 날’(22일)을 맞아 과학기술과 정보방송통신진흥 유공자 95명에 대해 훈·포장과 대통령·국무총리 표창한다. 과학기술 부문에서 박상대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부의장·정문술 ...
2014-04-20 19:12
카이스트 임춘택 교수팀, 무선전력 전송거리 신기록
국내 연구팀이 무선 전력전송에서 최장거리 신기록을 세웠다. 카이스트는 17일 이 학교 원자력·양자공학과 임춘택 교수 연구팀이 5m 떨어진 곳까지 209W의 전력을 무선으로 전송하는 데 성공...
2014-04-17 23:03
지린내 지독한 겨땀, 누군가에겐 바닐라향
▶ 봄입니다. 이제 슬슬 땀 납니다. 슬슬 겨드랑이에 신경 쓰입니다. 당신의 냄새는 안녕하십니까. ‘털 없는 원숭이’로 진화한 인간이 여전히 독특한 체취를 풍기는 이유가 뭘까요. 체취가 사...
2014-04-11 19:36
파킨슨병 치료 효과 높고 부작용 적은 신물질 개발
11일 ‘세계 파킨슨병의 날’을 앞두고 파킨슨병 치료 효과가 큰 신경세포 보호 물질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는 소식이 전해져 환자들에 기대를 안겨주고 있다. 파킨슨병은 뇌에서 도파민을 생성하는 신경세포가 죽으면서 나타나...
2014-04-10 16:21
[실험]폴리우레탄의 변신! 우레탄 셰이크 만들기
지구상에 존재하는 물질은 주변 환경에 영향을 받고, 이를 통해 변화가 일어나기도 한다. 이러한 물질의 변화에는 물리적인 영향으로 인한 ‘물리적 변화’와 화학적인 영향으로 인한 ‘화학적 ...
2014-03-26 14:05
별에서 온 운석, 높은 연구 가치로서 운석 판별법
2014년 3월 9일, 한반도를 방문한 별(소행성)에서 온 그대(운석)가 진주에서 발견되면서 이곳에는 운석 사냥꾼들이 몰리고 있다고 한다. 운석의 가장 높은 가치는 과학자들이 직접 우주의 물...
2014-03-26 13:59
전체보기
제목만 보기
사진기사 보기
RSS
도움말
맨앞으로
이전으로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다음으로
맨뒤로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