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광고

  • ‘엔지니어링의 날’ 유공자 훈포장
    과학기술훈장 문병권 대표이사
    과학기술부와 한국엔지니어링진흥협회(회장 조행래)는 18일 건설회관 대회의장에서 ‘2007 엔지니어링의 날’ 행사를 열어 올해의 엔지니어링 기술 진흥 유공자 33명한테 과학기술훈장 등 정부...
    2007-10-16 18:56
  • 지구의 미래를 밝히는 ‘태양’, KSTAR
    지난 9월 초 한반도의 중심에 ‘태양’이 떴다. 이 태양은 여러모로 하늘의 태양과 다르다. 지구의 수천 배 크기인 태양이 비해 이 태양은 높이 9m, 지름 9m의 원통으로 연구동 하나에 들어갈 ...
    2007-10-15 17:48
  • 고산 ‘우주정거장 승무원’ 승인
    과학기술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항우연)은 한국 최초 탑승우주인 고산(사진)씨의 국제우주정거장(ISS) 체류를 우주정거장의 ‘다자간 승무원운영위원회’(MCOP)가 공식 승인해 한국쪽에 통보...
    2007-10-14 19:24
  • 코알라는 새끼에게 똥을 먹인다구?
    최근에 독일 베를린 동물원의 북극곰새끼 ‘크누트’에게 세간의 관심이 집중된 적이 있다. 그 이유는 북극곰 어미가 자연포유를 거부하자 동물원 측에서 인공포유를 결정했는데, 동물보호론자...
    2007-10-12 17:59
  • 숨겨진 북한의 최고 과학자, 리승기
    우리나라에서 과학자를 모델로 우표를 발행한 적은 없다. 그러나 북한은 두 차례나 한 명의 과학자를 기념한 우표를 발행했다. 바로 합성섬유인 ‘비날론’의 발명자 고 리승기 박사(1905~1996...
    2007-10-10 19:46
  • 작년 생명과학 논문 살펴보니
    서울대 1356편 최다, 영향력은 포항공대 최고
    생명과학 분야에서 가장 많은 연구논문을 낸 곳은 서울대이며, 한 편당 영향력지수가 가장 높은 논문을 낸 곳은 포항공대인 것으로 조사됐다. 또 의학에 바탕을 둔 생명과학 연구가 많아져 ...
    2007-10-10 19:44
  • 보고 느끼는 우주·생명의 신비
    가족 나들이 때에 들를 만한 대형 과학전시회가 최근 나란히 문을 열었다. 모두 우주와 생명을 주된 테마로 삼았다. 국립서울과학관이 4일부터 열고 있는 ‘노벨 사이언스 체험전’은 오감으...
    2007-10-10 19:35
  • ‘암흑에너지 비밀’ 밝혀질까
    점점을 찍은 풍선을 한번 불어보자. 풍선이 팽창하면서 점들은 서로 멀어진다. 우리 우주는 이렇게 팽창하는 풍선에 자주 비유된다. 풍선의 점이 멀어지듯이 우주에서 은하들이 점점 서로 멀...
    2007-10-10 19:33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