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광고

  • “대기권 진입 유성 공중폭발은 고압공기때문”
    2013년 2월15일 아침에 러시아 시베리아의 첼랴빈스크 지역 상공에서 지름 17~20m(추정)의 유성체가 섬광을 내며 대기권에 진입했다. 이내 불덩이가 됐고 다시 몇 분 뒤에 유성은 상공 25km ...
    2017-12-18 15:44
  • 원자력기술 중심축 안전·해체와 방사선 활용으로 이동
    원자력 정책의 중심축이 ‘원전 진흥·수출’에서 ‘원전 안전·해체기술’과 ‘방사선기술 활용’으로 전환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는 18일 ‘미래원자력기술 발전전략’을 발표해 “...
    2017-12-18 11:59
  • 용오름은 왜 바다에서 주로 일어날까?
    지난 5일 제주 서귀포 남쪽 해상에서 오전 9시50분께부터 15분 동안 용오름 현상이 두 차례 발생했다. 기상청은 “북서쪽에서 발달한 대륙고기압이 확장해 찬 공기가 남하하면서 북서풍이 매...
    2017-12-18 07:02
  • 최고 보안등급 시설 KIST도 ‘도핑검사 올림픽’ 치른다
    서울 성북구에 있는 한국과학기술연구원(키스트)은 ‘국가중요시설물’로 분류돼 최고 보안등급이 적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런 키스트 안에 직원도 들어가지 못하는 건물이 있다. 6층짜리 L4 ...
    2017-12-18 07:00
  • 60년전 부푼 꿈을 안고 출발한 로켓 개발, 그러나…
    1970년대 말, 아니면 80년대 초로 기억한다. 티브이(TV)에서 미국 항공우주국(NASA·나사)의 우주선 개발 과정을 소개하는 외국 다큐멘터리를 본 적이 있었다. 중간에 나사의 동양인 과학자가...
    2017-12-17 13:55
  • 대학생들이 만든 꼬마위성, 60년 우주 수수께끼를 풀다
    미국 대학생들이 만든 초소형 인공위성 ‘큐브샛’이 60년 동안 수수께끼로 남아 있던 밴앨런대 전자의 기원 가설을 입증했다. 미국 콜로라도주 볼더시에 있는 콜로라도대는 “학생들이 만든...
    2017-12-17 10:59
  • 재활용 로켓·우주선 사상 첫 동반발사 성공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미국의 우주개발업체 스페이스엑스(SpaceX)가 새로운 기록을 세웠다. 우주개발사상 처음으로 재활용 로켓으로 재활용 우주선을 쏘아올렸다. '우주선-로켓 재...
    2017-12-16 12:05
  • 아기와 어른의 눈맞춤 때 ‘뇌파도 맞춤’
    어른과 아기가 눈맞춤 하며 소통할 때, 뇌파에서도 둘 사이에 동기화가 일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국 케임브리지대학 심리학 연구진은 갓난아기들이 어른과 눈맞춤 할 때 나타나는 뇌...
    2017-12-15 16:01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