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광고

  • 인류, 10만년 더 일찍 출현했다
    인류는 기존에 알려졌던 것보다 10만년 더 일찍 출현한 것으로 밝혀졌다. 앞으로 생물학 교과서는 인류의 출현 시기를 30만년 전으로, 기존보다 10만년 앞당겨 기술해야 한다. 독일과 모로코...
    2017-06-08 02:00
  • 아인슈타인이 틀렸다?…‘백색왜성’ 질량 측정 성공
    아인슈타인이 자신이 만든 일반상대성이론에 따른 별빛의 굴절 현상을 이용해 질량을 측정하는 것이 불가능할 것이라고 예견했던 태양계 밖 별의 질량을 미국 연구팀이 처음 측정해냈다. ...
    2017-06-08 00:29
  • 몰려드는 탐방객, 개발 욕심에 국립공원이 떤다
    국립공원은 공원구역을 지나는 도로에 의한 생물 서식지 단절, 야생동식물 불법 채취와 밀렵, 등산로가 아닌 샛길 탐방에 의한 식생 훼손, 공원 주변의 도시화에 따른 생태적 고립 등 다양한...
    2017-06-05 08:36
  • 인간의 한계와 겸양을 배우는 곳
    어린 시절 아버지 손을 잡고 간 내설악 십이선녀탕의 옥색 물빛은 충격이었다. 이후 때 묻지 않은 자연 하면 꼭 그때의 정경이 떠오른다. 서울 서대문구 홍제동에 살 때 진달래꽃을 따먹느라...
    2017-06-05 08:36
  • 두 얼굴의 시장, 당신은 어느 쪽을 믿고 싶나요?
    1980년대 초반 일군의 경제학자들은 사람들의 행동을 얼마나 잘 예측할 수 있는지를 보기 위해 일련의 행동 실험들을 시작했다. 이를 위해 간단한 상황을 주고 어떤 의사결정을 하는가에 따...
    2017-06-04 17:56
  • 문어의 역습에 돌고래가 당했다
    문어를 먹다가 질식사한 돌고래가 학계에 처음으로 보고됐다. 나히드 스테판 서호주 머독대 교수(수의학) 등 국제연구팀이 서호주 번버리 해안에서 문어를 삼키다가 질식사한 남방큰돌고...
    2017-06-02 10:25
  • 나사, 이번엔 태양 탐사선 보낸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나사)가 태양에 탐사선을 보내겠다고 밝혔다. 화성, 목성, 토성 등 태양계의 주요 행성 대부분에 탐사선을 보내온 나사가 태양계의 중심으로 눈을 돌린 것이다. 나...
    2017-05-30 11:53
  • 범고래가 죽으며 남긴 경고문…“아이들이 사라진다”
    2016년 1월 얼룩무늬 범고래 한 마리가 스코틀랜드 타이리섬 해변가에 쓸려왔다. 그물에 걸려 죽은 것처럼 보였다. 이름은 ‘룰루’(Lulu). 영국의 마지막 남은 정주형 범고래 9마리 무리 중 ...
    2017-05-29 08:01
  • 자유냐 책임이냐, 소셜네트워크의 딜레마
    당신이 페이스북 관리자라면 다음 콘텐츠 가운데 무엇을 페이스북에서 내리겠는가? ㄱ. “죽겠다”며 자해하는 한 20대 여성의 페이스북 라이브(생중계) 비디오. ㄴ. 테러리스트가 인...
    2017-05-29 08:00
  • 지구 온난화로 잠 설치는 밤 배로 늘어난다
    미국 연구팀이 수십만명의 수면 보고서 자료와 기후변화 데이터를 비교 분석한 결과 지구 온난화가 진행되면 수면 부족이 배로 늘어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놨다. 기온 상승에 따른 수면 부족...
    2017-05-27 02:59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