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검색
광고
전체보기
제목만 보기
사진기사 보기
RSS
도움말
외계인이 공장식 농장에 인간을 키워 잡아먹는다면?
▶ 인간은 먹이 피라미드의 최상위에 있기 때문에 동물을 먹어도 된다, 채식을 하는 사람이라면 식물도 같은 생명체이니 먹지 말아야 할 것 아니냐? 동물권과 동물복지론을 말하면 흔히 듣게 ...
2016-04-29 21:32
스텃 아주머니에게
스텃 아주머니, 안녕하세요. 당신이 저를 기억하실지 모르겠지만 2년 전 아주머니 코에 살짝 받혀 잠깐 기절했던 한국의 수의사입니다. 2년이 지난 지금 당신은 54살이 되었겠네요. 캄보디아...
2016-04-29 21:30
‘동물 학대’ 의혹있는 사진인데…환경부 후원 사진전 수상 논란
‘환경’을 주제로 해마다 열리는 유명 사진 공모전 수상작 가운데 동물을 학대해 촬영한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되는 사진이 포함돼 논란이 일고 있다. 지난 25일부터 서울 시민청 시민플...
2016-04-28 16:01
엘리뇨 종류 따라 여름철 강수량 롤러코스터…올 여름은?
엘리뇨 종류에 따라 우리나라 여름철 강수량이 최대 20%까지 차이가 나는 것으로 조사됐다. 현재 슈퍼엘니뇨가 진행중이지만 여름께 소멸할 가능성이 있어 올해 여름 한반도 강수량에 영향을...
2016-04-26 12:06
[날씨] 황사로 미세먼지 ‘매우 나쁨’…마스크 챙기세요
월요일인 25일은 서해상에서 동진하는 고기압의 영향으로 전국이 대체로 맑다. 전날에 이어 황사의 영향을 계속 받아 미세먼지 농도는 전 권역이 ‘매우나쁨’ 수준으로 예보됐다. 국립환경...
2016-04-25 00:05
속리산·월출산은 ‘멸종위기’ 동물들 놀이터
속리산과 월출산에서 활발하게 움직이는 담비·수달·삵 등 멸종위기 동물들의 영상이 잡혀 이들 지역에 건강한 자연생태계가 마련됐음을 보여주고 있다. 국립공원관리공단은 24일 “속리산과 ...
2016-04-24 12:00
팥죽 끓듯 한 제주에 마지막 불 뿜은 ‘수성화산’
백록담에서 용암과 재를 뿜어낸 거대화산이 제주도를 형성했다고 믿는다면, 제주도와 한라산을 잘못 아는 것이다. 한라산과 백록담이 현재 모습을 갖춘 것은 2만5000년 전으로, 180만년에 이...
2016-04-20 10:19
‘화산학 교과서’에 실리고 ‘명품관광’ 발길
제주도 서쪽 끄트머리인 한경면 고산리에 위치한 수월봉은 물가에서 격렬한 폭발을 일으킨 화산 퇴적층을 가장 잘 볼 수 있는 곳이다. 국제 화산학 교과서에 나올 정도로 지질학계에선 유명...
2016-04-19 21:34
전체보기
제목만 보기
사진기사 보기
RSS
도움말
맨앞으로
이전으로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다음으로
맨뒤로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