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검색
광고
전체보기
제목만 보기
사진기사 보기
RSS
도움말
‘두껍아 새집 줄게 헌집 다오’…경칩 맞아 양재천 두꺼비 생태통로 새 단장
경칩인 5일을 앞두고 서울시 강남구청은 4일 양재천에 두꺼비가 쉽게 이동할 수 있는 새 생태통로를 만들었다. 양재천에는 도심에서는 보기 드문 논이 조성돼 있다. 이 논은 주변 산에 사는 ...
2016-03-04 14:59
[포토] “살인면허 취소하라”…그린피스, 석탄화력발전소 건설 반대
그린피스 회원들이 3일 오전 서울 종로구 광화문광장에서 신규 석탄화력발전소 건설 허가를 반대하는 행위극을 연출하고 있다. 이번 행위극은 신규 석탄화력발전소 건설을 막기 위한 캠페인...
2016-03-03 14:14
새로운 ‘봄의 전령사’ 복수초와 두꺼비
국립공원관리공단은 3일 기후와 계절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계절 알리미 생물종’ 50종을 선정해 발표했다. 계절 알리미 생물종은 국립공원 탐방 때 계절의 변화를 확인하고 기후변화를 ...
2016-03-03 14:00
[날씨] “봄이 왔어요”…낮 최고 10∼18도 ‘포근’
목요일인 3일 전국의 낮 최고기온이 10도를 넘기는 포근한 날씨가 예상된다. 아침 최저기온은 영하 4도에서 영상 6도, 낮 최고기온은 10도에서 18도로 2일보다 높을 것으로 예보됐다. 기상...
2016-03-03 11:13
‘황사 습격’ 3월에 집중…“미세먼지 예보에 유의해야”
3월에는 연중 황사가 가장 많이 발생하므로 노약자나 호흡기 환자는 미세먼지 예보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3일 국민안전처에 따르면 최근 10년간 우리나라에서 연평균 7.5일간 황사가 ...
2016-03-03 08:28
‘옥촉촉’을 아시나요?…잊혀진 생물자원 지혜 되살린다
제주도에 서식하는 보리장나무는 산수유보다 조금 큰 열매를 맺는다. 새들이 잘 쪼아먹고 사람도 간식거리 등 식용으로 사용한다. 드물지만 말려서 팔기도 한다. 하지만 조선시대에는 보리장...
2016-03-02 14:02
가거도 텃새? ‘인디언 추장새’ 후투티
90년대 중반 이후만 하더라도 후투티를 보려면 봄철 이동시기에 아주 먼 섬에 탐조를 가야만 어렵게 만날 수 있었다. 그 시절 탐조인에게 귀한 대접을 받던 새였다. 하지만 최근 들어 봄, ...
2016-03-02 09:31
남북 확성기 공방에 DMZ 야생동물 ‘고막’ 터질라
남북한 사이 비무장지대(DMZ)는 백두대간, 도서 연안과 함께 우리나라의 핵심 생태 축으로 꼽히는 지역이다. 비무장지대와 그 주변 민간인 출입통제구역 안에서 살아가는 생물종은 산양, 사...
2016-03-01 20:12
전체보기
제목만 보기
사진기사 보기
RSS
도움말
맨앞으로
이전으로
161
162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다음으로
맨뒤로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