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광고

  • 몽골 황무지에 나무 21만그루 땀으로 키웠죠
    “사업장마다 나무를 심은 뒤 이삼일 간격으로 몇달씩 물주기를 하자 0%였던 묘목 생존율이 90%까지 올랐어요. 나무에 미친 지부 간사들과 자원봉사자들의 눈물과 땀으로 이룬 성과죠.” 서...
    2010-08-03 18:59
  • [이순간] 강의 신음…지켜주지 못해 미안해
    4대강 공사가 한창이다. 멀쩡하던 강을 ‘죽었다’고 선언한 뒤 강바닥을 파내고 콘크리트 댐 만들기에 들어간 지 1년도 되지 않아 강이 깊은 신음소리를 토해내고 있다. 아, 강은 원래 살아 ...
    2010-08-03 18:32
  • ‘녹색성장’ 구호만 요란
    정부가 ‘저탄소 녹색성장’ 정책을 추진하고 있지만, 정작 행정·공공기관의 3분의 2 이상이 수도권대기환경개선특별법이 규정한 저공해자동차 구매 의무를 지키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
    2010-08-02 20:02
  • 농지리모델링, 침수 우려없는 곳까지 마구잡이 시행
    정부가 4대강 준설토(강바닥에서 파낸 흙)를 옮겨 쌓아 저지대 농경지 침수를 막겠다는 ‘농경지리모델링(개조)사업’이 실제론 침수피해가 없는 농지에 대해서까지 광범위하게 이뤄지고 있다...
    2010-08-01 18:52
  • 느껴보세요…우리 강 이대로 좋죠?
    “찰랑찰랑 대는 물 속에 발을 담궈보세요. 발바닥에 금모래의 서늘함이 고스란히 와닿지요? 이게 바로 우리 강입니다.” 밀짚모자에 작은 손마이크를 든 이원영(사진·53·대한하천학회 상임...
    2010-07-30 20:30
  • 광릉숲 ‘유네스코 보전지역’으로
    30일 오전 국립수목원에서 최청일(오른쪽) 유네스코맵(MAB) 한국위원회 위원장이 김문수(가운데) 경기도지사와 김용하(왼쪽) 국립수목원장에게 광릉숲에 대한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 인증...
    2010-07-30 20:27
  • 낙동강 삼락둔치 유기농지 경작농-부산시 ‘갈등 증폭’
    부산시가 4대강 사업구간인 낙동강 3공구 삼락둔치 안의 친환경 농경지를 준설토 임시 적치장 등으로 사용하기 위해 해당 농경지의 영농시설 등을 강제로 없애려 해 농민들과 정면충돌하고 ...
    2010-07-30 20:11
  • 여름 홍수기 ‘4대강 공사’ 위험경고 목소리 높다
    여름철 홍수기만이라도 우선 4대강 사업의 공사를 중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지난 17일 낙동강 함안보, 합천보가 물에 잠긴 것에서 확인되듯 여름철 하천 공사는 다분히 위험을...
    2010-07-30 20:07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