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광고

  • ‘가난한 법학도의 어머니’ 조명덕씨, 한국외대서 명예법학박사 학위
    가난한 법대생들을 위해 수십억원상당의 부동산과 현금을 장학금으로 기탁해온 조명덕(81·사진)씨가 24일 한국외대로부터 명예법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한국외대는 이날 오전 서울 이문동 교...
    2014-11-24 19:28
  • “나눔은 공존의 가치 깨우쳐 주죠”
    “봉사나 기부라는 말보다는 나눔이라는 말이 좋습니다. 나눔은 일방적으로 남을 돕는 것이 아니라 더불어 사는 공존의 가치를 깨우치게 하니까요.” 토목·건축·플랜트의 기초·지반 전문 기업 에스이(SE)이엑스티의 송기용(45·사진) ...
    2014-11-23 18:50
  • 서울 ‘시민 인권헌장’에 성소수자 차별금지 명시될까
    서울시가 지방자치단체 최초로 제정을 추진하고 있는 ‘시민 인권헌장’의 초안이 마련돼 20일 첫 공청회가 열린다. 차별금지 사유를 규정할 때 ‘성 정체성’에 따른 차별 금지 등을 구체적으로 적시할지를 놓고 논쟁이 벌어질 것으로 보...
    2014-11-19 22:17
  • 한국 어린이 절반 “놀 권리가 뭐예요?”
    경기도 평택에 사는 학부모 이은경(44)씨는 초등학교 아이들이 놀 시간도 없는 환경이 답답하지만, 대안이 없다고 여긴다. “아이들에게 놀 권리가 있다지만 다른 아이들은 그렇지 않은데 우리 아이만 혼자 놀게 하면 뒤처질 것같은 불...
    2014-11-19 20:12
  • “내전은 멈췄지만 아이들 학대·차별 없는 ‘긍정적인 평화’ 아직”
    “5년 전 30년 내전이 끝났다지만 폭력과 테러가 멈췄다고 해서 평화를 이룬 건 아닙니다. 우리는 학대와 차별 없이 모두가 공존하는 평화를 원합니다.” 스리랑카국민평화협의회 상임이사인...
    2014-11-18 21:34
  • 부양 의무 완화됐지만…‘100만 빈곤층’ 사각지대 여전
    저소득층의 마지막 안전망으로 불리는 기초생활보장제도가 이르면 내년 6월 말부터 크게 달라질 것으로 보인다. ‘국민기초생활보장법(기초법) 개정안’이 올해 안에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면, 앞으로 저소득층이 기초생활보장제에 따른 ...
    2014-11-18 20:43
  • 남한산성 마실장터 “자긍심을 사고 팔아요”
    서울 청계천 주변은 1960년대만 하더라도 우리나라 대표적인 판자촌이었다. 1969년 박정희 정권은 청계천 위를 덮고 고가도로를 건설하기 위해 판자촌을 철거하기 시작했다. 철거민을 강제 ...
    2014-11-18 20:31
  • 아버지 뒤좇는 저항과 투옥의 길
    ‘“죽어간 친구의 진실을 밝히지 않고서는 눈을 감을 수 없습니다.” 암울했던 1970년대 초 유신 반대 운동을 벌이다 의문사한 심오석·현승효 경북대 의대 민주열사 기념사업회를 추진하고 있는 신인식씨는 이렇게 말문을 열었다. 경북...
    2014-11-18 20:27
  • ‘송파 세모녀법’ 소위 통과…부양의무자 기준 완화
    ‘송파 세모녀법’으로 불리는 국민기초생활보장법 개정안이 발의된 지 9개월여 만인 17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법안심사소위를 통과했다. 개정안은 지난 2월 생활고를 견디다 못한 세 모녀가 스스로 목숨을 끊은 ‘송파 세 모녀 사건’이...
    2014-11-17 22:27
  • 인권위 “정신병원 강제이송은 체포·감금죄”
    국가인권위원회는 전문의의 대면 진단 없이 강제력을 동원해 정신질환자를 병원으로 이송한 정신병원 직원 3명에 대해 검찰에 수사를 의뢰했다고 12일 밝혔다. 인권위는 이러한 행위에 형법상의 체포, 감금죄를 인정할 수 있다고 봤...
    2014-11-12 10:40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