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울 고등학생, 교육과정 연계해 노동인권 배운다
- “파업으로 애꿎은 소비자만 발 동동… 사전 안내도 없어”
“건전한 노사관계 첫발 딛는다. ○○구, 사상 첫 노사 단체교섭 추천”
노동조합 활동에 대한 태도가 서로 다른 위의 두 가지 신문...
- 2019-02-13 15:54
-

- 경남대 박재규 총장 재선임
- 경남대는 오는 14일 오전 11시 대학 본관 대회의실에서 박재규 제11대 총장 취임식을 한다.
학교법인 한마학원(이사장 이대순)은 지난해 11월 이사회에서 박 총장을 재선임했다. 1973년...
- 2019-02-12 19:37
-
- 대학 ‘평생교육’ 지원하는 사업, 최대 4년까지 지원
- 대학을 ‘평생교육’ 체제 중심으로 바꾸기 위해 정부가 기존 1년짜리였던 지원사업을 최대 4년까지 지원 가능한 사업으로 바꾸기로 했다.
교육부는 12일 5개 권역에서 전체 26개 대학(일반대학 20개, 전문대학 6개)을 선정해 올해 2...
- 2019-02-12 15:01
-
- ‘따뜻한 말 한마디’에 쑥쑥 크는 우리 아이 자존감
- 말을 주고받는 것도 배워야 잘할 수 있다. 기분 내키는 대로 말하는 건 대화가 아니라 ‘감정 배설’일 수 있다. 아이를 위해서라면 온갖 학원과 공부법에 ‘투자’하는 부모들이지만 정작 평생 필요한 대화법에는 크게 관심이 없는 경우...
- 2019-02-11 20:14
-
- 초등 교실에 필요한 건 ‘역지사지’ 젠더 상상력②
- 지난 시간에 이어 이번에는 ‘나와 다른 성별은 어떤 점이 불편할까’에 대해 생각해봤다.
#남자여서 이럴 때 불편하다!(예측) : 대변 보려면 휴지 들고 가야 하니까 사람들이 다 안다, 잘 때 몽정한다, 포경수술 해야 한다, 뻥 뚫린...
- 2019-02-11 20:13
-

- 옳고 그름 판단 없이 자주 바라봐주는 부모가 되어주세요
- 새학기 맞는 우리 아이 자존감 키워주기
“첫아이가 초등학교에 입학하는데, 아무래도 걱정이 돼요. 학교 생활에 잘 적응할 수 있을지, 또래 관계에 문제는 없을지….”
서울 성동구...
- 2019-02-11 20:13
-

- ‘자기 주도적’ 디지털 시민이 되려면?
- ‘디지털 세상’이라는 말을 참 많이 씁니다. 이런 환경 속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은 ‘아날로그 세상’의 그것과 어떤 점이 다를까요? 후자가 사람들을 미디어의 소비자로만 인식한다면, 전자는 ...
- 2019-02-11 20:13
-

- 2월 12일 교육정보
- 글쓰기 지도사 양성 과정 모집
한겨레교육에서 글쓰기 지도사 양성 과정 수강생을 모집한다. 한겨레 신문활용교육 매체인 <아하! 한겨레>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강의 노하우를 익힐...
- 2019-02-11 20:11
-

- “소파에서 뒹굴뒹굴…창의력이 발현될 수 있어요”
- 정재승 교수, AI 시대 교육 방향 제시
“인공지능에 시키면 웬만한 일은 다 하는 시대에 왜 학교는 우리를 자꾸 인공지능 수준으로 머릿속에 똑같은 것만 넣으려고 하는지, 인공지능에 ...
- 2019-02-11 20:11
-
- 교육계, “남과 북, 교육으로 교류하자”
- 새해를 맞아 남북간 왕래가 더 활발해질 것으로 기대가 높은 가운데 교육계에서도 남북 교류사업에 적극적으로 나섰다.
11일 서울시교육청은 오는 12일부터 이틀 동안 북한 금강산에서 열리는 ‘판문점 선언과 9월 평양공동선언 이...
- 2019-02-11 14:43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