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검색
광고
전체보기
제목만 보기
사진기사 보기
RSS
도움말
외고·국제고 신입생 절반이 ‘중학교 내신 상위 10%’…일반고 5.2배
외국어고·국제고·자율형사립고가 학생 우선선발권을 가지면서 이들 학교에 내신 성적이 우수한 학생들의 쏠렸고 고교 서열화 현상이 심화된 사실이 구체적인 수치로 확인됐다. 교육시민단체 ...
2019-01-07 16:08
“되돌릴 수 없는 대학 민주화로 ‘비리 사학’ 불명예 지울 터”
지난달 31일 평택대 교수회장이던 신은주(58·사회복지학과·사진) 교수가 평택대 신임 총장으로 취임했다. 평택대 전 총장의 성추행과 학내 비리에 맞서 2년간 싸운 끝에 ‘대학 정상화’를 이...
2019-01-06 18:41
‘학교 밖’ 서울 청소년에 3월부터 월 20만원 수당
이른바 ‘학교 밖 청소년’에게 매달 20만원씩 수당을 주는 서울시교육청의 새로운 정책이 오는 3월부터 시행될 전망이다. 이름은 애초 ‘교육기본수당’에서 ‘교육참여수당’으로 바뀌었고, 수당...
2019-01-06 14:05
[MODU e청소년과 이렇게!] 신북유기: 평등을 찾아 핀란드로 향하다
1일차 : 10월 29일 월요일 내 이름은 전충만! ‘알쿠’ 팀 멤버야. 우리는 핀에어 항공기를 타고 약 10시간 비행 끝에 핀란드 반타 공항에 도착했어. 우리를 가장 먼저 반겨준 건 하얀 눈과 ...
2019-01-04 12:38
[MODU e청소년과 이렇게!] 핀란드의 성평등 정책을 배우다
사회보건부:젠더국(Ministry of Social Affairs and Health: Gender Equality Unit) 젠더국은 젠더 불평등을 전담하고 있는 국가 기구다. 젠더 관련 정책을 개괄하며 각종 핀란드 젠더 통계...
2019-01-04 12:31
조희연 교육감 “행정혁신 통해 학교지원 강화·자율권 확대”
서울시교육청이 본청 조직을 슬림화하는 등 행정 혁신을 통해 각 지원청의 학교 지원 기능을 강화하고, 초중고 학교의 자율권을 확대하는 정책을 추진한다. 이를 위해 교육청은 본청의 목적...
2019-01-03 15:23
교실 속 시민 30명, ‘위안부 피해자’를 생각하다
교실에서 함께 <나비가 된 소녀들>을 읽어 나갈수록 학생들은 몰입하기 시작했다. 수업 전 “그거 있잖아요. 위… 위안…”하며 장난치던 아이들도, 그 의미에 대해 알아갈수록 보다 진지해졌다. 책읽기를 마친 뒤 위안부에 대한...
2019-01-01 20:03
“열다섯에 실수해봐야 스무 살에 ‘신불자’ 안 됩니다”
새해맞이 경제교육 첫 걸음 “아이들 세뱃돈 관리부터 잘 해주고 싶지요. 적금 통장 만들어주는 것까지는 부모가 안내해 줄 수 있는데, 그 다음부터는 사실 용돈기입장 쓰는 수준이라 ‘...
2019-01-01 20:03
누리집·체험형 프로그램으로 ‘물가’ 이해했어요
‘경제’는 수요·지출 곡선 등 칠판 위 그래프로만 존재하는 과목이 아니다. 돈이 오가는 흐름을 배우고 생활을 유지하게 하는, 그 어떤 교과보다 생활밀접형 실전 과목이다. 그런데 공교육 과정에서의 ‘경제’는 어려운 수식으로 가득해...
2019-01-01 20:03
‘괜찮아, 나도 그래’…그림책에서 꺼내본 한마디 위로
지난 2017년 일하던 중학교에서 아이들과 함께 감정 글쓰기 수업을 진행했습니다. ‘감정 글쓰기’란 외로움, 즐거움, 서운함 등 다양한 감정 열쇳말을 활용해 학생들이 짧은 한 편의 글을 완성해보는 수업을 말합니다. 수업을 시작...
2019-01-01 20:03
전체보기
제목만 보기
사진기사 보기
RSS
도움말
맨앞으로
이전으로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다음으로
맨뒤로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