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광고

  • 365일 뽀송한 수건 대령이오
    욕실에 두면 수건이 눅눅해지기 쉬워 종이상자와 세탁소 옷걸이를 이용해 수건걸이를 만들었다. 만드는 방법은 종이상자를 펴서 길게 자른 뒤에 적당한 간격(14㎝ 정도)으로 구멍을 낸다. 옷...
    2014-02-12 19:50
  • 내 마당이 있어 더 아늑한 셋집
    임대주택 800만가구, 우리나라 두 집 중 한 집은 전월세로 산다.(국토교통부 ‘2012년 주택 자가점유율’ 통계) 모두가 아파트에서만 세들어 살 수는 없다. 집주인과 부대끼지 않고 살 수 있는...
    2014-02-12 19:49
  • 타이츠는 필수, 카니발의 계절이 왔다
    카니발, 피해야 할 것은 직장 상사다. 독일 쾰른 주변, 비정상이 정상이 되는 2월이 왔다. 동네마다 1000명 넘게 들어가는 대강당에선 카니발 공식행사가 열리는데, 비닐같이 얇은 하얀 타이...
    2014-02-12 19:46
  • “멸종위기 은행나무, 사람이 구해냈지요”
    은행나무는 우리나라 가로수로 가장 많이 심은 나무의 하나이고 서울을 비롯한 72개 자치단체의 상징 나무이기도 하다. 수백년 된 노거수도 즐비하다. 이렇게 흔하고 사랑받는 나무이지만 그...
    2014-02-11 20:20
  • 정월 대보름날, 잠들기 전 소망을 기원하자
    14일이 정월대보름이다. 우리 조상들은 정월 대보름날 밤 둥근달을 향해 소원을 빌고 무병장수를 기원했다. 여기엔 미신이라고 볼 수 없는, 옛사람들의 지혜가 담겨 있다. 양(陽)의 기운을 ...
    2014-02-11 20:16
  • 여전해서 고마워…서울의 오래된 가게들
    지금도 3, 4년이면 동네 풍경이 확확 변하는 서울 거리에 반세기 넘는 시간을 묵묵히 버텨낸 가게들이 있다. 서울시는 옅어져가는 시민들의 기억을 모아모아 아주 오래된 서울을 증언하는 3...
    2014-02-05 20:37
  • 라떼보다 감미로운 비엔나커피의 추억
    서울 미래 유산에 선정된 카페들 중 반세기를 넘기며 여전히 문을 열고 있는 곳은 대학로 학림다방 하나뿐이다. 올해로 58년째 한자리를 지켜온 학림은 여러 세대가 함께 찾는 곳이다. 지난 ...
    2014-02-05 20:30
  • 달팽이길을 뱅글뱅글 돌아
    서울의 가장 오래된 풍경을 쫓아 낙산의 이화동을 거닐어 본다. 낙산은 조선시대만 해도 도성 안 최고 경승지 중 하나로 손꼽혔다지만 낙타의 혹 같았던 화강암 봉우리들이 조선총독부 같...
    2014-02-05 20:26
  • “소재 하나에 집착? 이것만으로도 요리할 게 너무 많죠”
    지난달 말, 서울 종로구 부암동 ‘파츠파츠 임선옥’ 매장을 찾았다. 임선옥(52) 패션디자이너는 이번 러시아 소치겨울올림픽 폐회식에서 차기 대회 개최지 평창을 알리는 8분간의 문화행사 의...
    2014-02-05 20:25
  • 마무리 제품, 진짜 마지막인가요?
    요즘 화장품계에 난생처음 들어보는 희한한 주장이 인기를 끌고 있다. “당신의 스킨케어, 이것이 진짜 마지막인가요?” “기초화장, 마무리가 중요합니다.” 이른바 ‘마무리 에센스’, ‘피니셔...
    2014-02-05 20:21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