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3월 1일 문학 새 책
- 50년 후의 시인 지난해 김수영 50주기를 맞아 열린 두 차례 학술대회 발표문들을 모았다. 최원식은 ‘병풍’ ‘누이야 장하고나!-신귀거래 7’ ‘풀’ 등 김수영의 시들을 조명하며 기존 해석의 ...
- 2019-02-28 19:51
-

- 3월 1일 교양 새 책
- 에도의 도쿄 에도에 막부가 설치되면서 오늘로 이어진 도쿄의 건설과정을 들여다본다. 에도를 천하제일의 대도시로 만들기 위해 ‘달팽이’ 모양의 거대한 확장계획으로 축조되기 시작한 도쿄...
- 2019-02-28 19:49
-

- [페팃-박명림 대담②] “민주정은 결코 조용할 수 없다”
- (1편에서 이어짐. 1편 기사 보기)
박 아시아의 수많은 국가들은 가산주의, 가족주의, 세습통치의 전통마저 여전히 강력하다. 동아시아의 아베 신조, 박근혜, 김정은, 시진핑은 모두 2...
- 2019-02-28 19:14
-

- [페팃-박명림 대담①] 소수의 지배에 맞설 ‘민주공화주의’ 어떻게 세울까
- 지난 25~26일 연세대 김대중도서관이 주최한 3·1운동 100주년 특별 국제학술회의가 ‘민주공화 100년, 세계시민 100년: 보편평화를 향하여’를 주제로 열렸다. 이번 회의엔 세계적인 공화주의 ...
- 2019-02-28 19:13
-

- 대통령도 안 오는 도서관 정책 보고회
- “책은 이용하기 위한 것이다.” 도서관 운영의 기본 원칙을 제시한 랑가나단의 ‘도서관학 5법칙’ 중 제1법칙이다. 이용자를 위한 자료 서비스가 도서관의 원점이라는 뜻이다. 하지만 이 땅에...
- 2019-02-28 18:49
-

- [탕누어 인터뷰②] 기계는 합리적이나, 인간은 불합리하다
- (인터뷰 1편에서 이어짐)
-스무살 때부터 하루 6~8시간을 책 읽는 일을 20년 넘게 지속해오다가 45살이 되어서 진정한 첫 책을 쓰셨다고 했는데, 처음부터 그렇게 해야겠다는 목표가 ...
- 2019-02-28 18:49
-

- [탕누어 인터뷰①] ‘독서의 신’에게 독서를 묻다
- 독서라는 인간 활동의 가치가 의심받을 때 누구를 변호사로 세우면 좋을까. <마르케스의 서재>를 읽은 뒤, 탕누어(61)라면 그 역할을 십분 감당해주리라고, 아니 이 책으로 이미 그 역...
- 2019-02-28 18:48
-

- “코코넛 껍데기에서 뛰쳐나와 연대하라”
- 경계 너머의 삶-베네딕트 앤더슨 자서전
베네딕트 앤더슨 지음, 손영미 옮김/연암서가·1만7000원
‘상상의 공동체’로 유명한 베네딕트 앤더슨(1936~2015)의 자서전이 나왔다. 타계하기 ...
- 2019-02-28 18:47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