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검색
광고
전체보기
제목만 보기
사진기사 보기
RSS
도움말
자치단체장 131명 서면조사
한겨레경제연구소는 6·2 지방선거 직후부터, 민선 5기 지방자치단체들이 직면한 문제와 대안을 살피기 위한 연구를 시작하여, 내부 토론과 전문가 자문, 문헌조사, 지역 기초자료 분석을 병행했다. 그 결과 민선 5기는 과거 어떤 시기...
2010-08-31 21:27
경제 살려 일자리 창출…외부지원으로 인구방어
기초자치단체장의 지역정책에 대한 인식은 소속 정당에 따라 달라질까? 아니면 그 지역의 경제사회적 조건에 따라 달라질까? 이번 조사 결과로 후자가 맞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한겨레경제연...
2010-08-31 21:22
자생력 강화 중시…정치성향 따라 편차 커
경제·복지 인식 기초단체장과 비슷 광역단체장들은 ‘지역경제 활성화’와 ‘주민복지 확대’, ‘재정문제 해결’에 대해 어떤 생각을 하고 있을까? 설문조사에 응하지 않은 서울과 경기, 울산, 충북, 제주를 뺀 광역 10곳의 자치단체장들...
2010-08-31 21:21
사회적기업으로 안정-번영 선순환을
국책사업 유치 편향은 균형 발전 해쳐 지역 경제의 활성화는 지자체의 영원한 화두다. 이를 위해 대기업이나 국책사업을 유치하는 등 외부의 자원을 끌어들이는 것이 자치단체장의 가장 중...
2010-08-31 21:17
‘삶의 질’ 개선하는 보편적 복지를
재량권 거의 없는 지방정부예산 민선 5기 지방정부가 출범한 지 한 달이 지나기도 전에 당선자들은 실제로 할 수 있는 일이 거의 없다는 사실을 확인하게 된다. 이번 한겨레경제연구소 자...
2010-08-31 21:15
무리한 개발투자 중단이 첫단추
재원부족·금융위기 탓은 오해 이번 한겨레경제연구소 자치단체장 인식조사 결과는 자치단체장들이 지역경제 침체를 가장 큰 어려움으로 들면서 이에 대한 대책으로 세수확대를 들고 있고, ...
2010-08-31 21:07
뒷마당을 농장으로…생산자·소비자 모두 저비용 ‘윈윈게임’
캐나다의 유기농은 올해 전체 식품시장의 10%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브리티시컬럼비아주의 유기농 점유율은 그 두배에 이를 것이라고 주정부는 내다본다. 유기농이 밥상의 주된 재료...
2010-08-31 21:00
친환경적 방법으로 해충 나방 제압한 게 결정적
캐나다 밴쿠버에서 동쪽으로 600㎞ 떨어진 오커나건 지역. 밴쿠버에서 소비하는 과일의 70%가 미국 접경의 반사막 지역인 이곳에서 공급된다. 트리스탄 메넬은 오커나건에서 3대째 유기농 과...
2010-08-31 20:58
“기본에 충실…소비자 인식변화가 기폭제”
캐나다 유기농업 현장 연수에 참여한 한국의 유기농업인들은 “한치 어긋남 없이 유기농의 기본에 충실하고 소비자들을 감동시키면 우리도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나타냈다. 충북 충주의 ...
2010-08-31 20:57
“친환경 넘어 진짜 유기농으로…소비자 감동에 성패 달려”
지난달 중순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주에서 김성훈(71) 전 농림부 장관과 이태근(51) 흙살림 회장을 함께 만나는 소중한 기회를 가졌다. 유기농 전도사인 김 전 장관은 김대중 정부 초대 농...
2010-08-31 20:25
전체보기
제목만 보기
사진기사 보기
RSS
도움말
맨앞으로
이전으로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다음으로
맨뒤로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