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패밀리사이트

  • 한겨레21
  • 씨네21
  • 이코노미인사이트
회원가입

광고

  • 농협이 친환경 인증 농가와 학교급식 잇는 다리 역할
    “아이들이 친환경 농산물만 먹는다고 생각하니 기쁘지요.” 순천농협 농산물산지유통센터 채민호(39)씨는 평소 새벽 6시부터 일을 시작한다. 순천 지역 유치원과 초·중·고교 196곳에 친환...
    2009-09-01 15:56
  • 로컬푸드 사업에 뛰어든 사회적기업
    지역 콩으로 두부 만들어 인근지역납품하고 밥집도 운영 강화 콩세알나눔센터는 흔치 않은 로컬푸드형 사회적기업이다. 좀더 정확하게 말하면 로컬푸드 사업의 초기 단계에 있다. 콩세...
    2009-09-01 15:54
  • 지자체 앞장서 다품종 소량생산 체계 구축
    생산자와 소비자 모두가 행복한 밥상 전북 완주군이 로컬푸드 1번지를 꿈꾸고 있다. 인구 8만명이 넘는 완주군은 먹을거리가 불안한 요즘 ‘생산자와 소비자가 행복한 밥상’을 기치로 대...
    2009-09-01 15:53
  • 도심속 시민 텃밭 ‘지속가능한 먹을거리’ 공급
    2012년까지 2012개 시민텃밭 조성 런던은 요즘 2012년 올림픽 준비로 부산하다. 그중에 ‘수도의 성장’(Capital Growth)이라는 재미있는 프로젝트 하나가 지난해부터 진행되고 있다. 올림...
    2009-09-01 15:51
  • 일본판 ‘신토불이’ 운동 ‘지산지소’
    전국 각지에 ‘산지 직판장’초·중·고 94%가 지역농산물 사용 일본의 지산지소(地産地消)는 ‘지역에서 생산한 농산물을 지역에서 소비하는 활동’으로 우리나라의 ‘신토불이’(身土不二), 이...
    2009-09-01 15:43
  • ‘얼굴 있는 거래’ 로컬푸드가 지역경제 살린다
    오늘 아침 밥상을 떠올리자. 심장병이 있어서 아침 식사를 가볍게 한다. 훈제 연어와 당근·양파·양배추를 버무린 샐러드와 명태국을 먹었다. 파인애플 몇 조각과 포도 몇 알도 먹었다. 훈...
    2009-09-01 15:40
  • ‘1촌1단지’ 같은 생산자-소비자 네트워크 구축해야
    ■ ‘로컬푸드 현황과 과제’ 전문가 좌담 한겨레 지역경제디자인센터가 로컬푸드 특집을 정리하는 전문가 좌담을 마련했다. 국내 학계의 대표적인 로컬푸드 연구자인 윤병선 건국대 교수, 농...
    2009-09-01 15:27
  • 구체적 실천 목표 정하고 중앙정부가 나서라
    ■ 로컬푸드 성공을 위한 제안 교육도 좋지만 지원제도 시급 로컬푸드의 확산에 공공정책이 중요한 구실을 하기 때문에, 외국의 경우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차원에서 로컬푸드와 관련된 ...
    2009-09-01 15:15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