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광고

  • [왜냐면] 장애인에게 아쉬움 남긴 올림픽 그리고 패럴림픽 / 김철환
    김철환 장애벽허물기 활동가 평창 겨울올림픽이 지난달 25일로 끝이 났다. 1988년에 이어 30년 만에 다시 치러진 이번 올림픽은 장애인들에게 환호가 아닌 아쉬움으로 남았다. 평창올림픽은 개막식부터 장애인들의 원성을 샀...
    2018-03-05 18:19
  • [왜냐면] ‘드론 부모’와 지방분권 개헌 / 김부겸
    김부겸 행정안전부 장관 ‘드론 부모’란 말이 있다. 자녀들이 성장해 대학에 들어가거나 사회생활을 해도 자녀 주변을 맴돌면서 온갖 일에 참견하는 부모를 빗댄 말이다. 대학교수를 하는 친구에게 들어보면, 우리나라도 꽤 흔...
    2018-03-05 18:19
  • [왜냐면] 국가조찬기도회 유감 / 장헌권
    장헌권 광주 서정교회 목사 나라와 민족을 위한 제50회 대한민국 국가조찬기도회가 3월에 열린다. 이번엔 4대 비전을 제시했다. 영적으로 회개, 사회적으로 화해, 국가적으로 통일, 역사적으로 미래다. 정말 이 시대에 필요한 기...
    2018-02-28 18:31
  • [왜냐면] 3·1혁명 99주년의 과제 / 김삼웅
    김삼웅 전 독립기념관장 우리는 3·1혁명 100주년을 1년 앞두고 아직도 정명(正名)을 회복하지 못한 채 관제 용어인 ‘3·1운동’이란 비칭을 사용하고 있다. 1919년 3~4월 한민족이 왜적의 총칼 앞에 생명을 내던지며 투쟁했던 ‘3·1...
    2018-02-28 18:29
  • [야! 한국 사회] 품격주의의 종언 / 김원영
    김원영 변호사·장애학연구자 이명박 전 대통령은 취임 직후부터 자주 “국가의 품격”을 강조했다. 2008년 광복절 기념사에서는 ‘대한민국의 경제역량에 부합하는 국가이미지와 품격'을 ...
    2018-02-26 18:13
  • [왜냐면] 미투운동, 지옥을 뚫고 나온 저항 / 정지우
    정지우 문화평론가·<분노사회> 저자 서지현 검사와 최영미 시인의 폭로로 시작된 ‘미투(#metoo) 운동’이 법조계, 문화예술계를 넘어 종교계, 학계 등 사회 전반으로 확산되고 있다. 오랫동안 우리 사회 곳곳에 스며들어 ...
    2018-02-26 18:13
  • [왜냐면] 언론재단, 언론인의 전당으로 돌아와야 한다 / 고승우
    고승우 민언련 이사장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에 있는 한국언론진흥재단(언론재단) 건물 앞은 언론 자유를 외치는 언론인들의 집회 현장이다. 촛불혁명 이후 공영방송 정상화를 촉구하는 언론인들의 집회가 여러 번 열리기도 ...
    2018-02-26 18:13
  • [왜냐면] 천안함 참사의 진짜 책임자는 누구? / 이승헌
    이승헌 미국 버지니아대학 물리학과 교수 자유한국당이 김영철 북한 노동당 중앙위원회 부위원장의 방한을 반대하는 대회를 열었다. 김영철 부위원장이 2010년에 일어난 천안함 침몰 사건의 주범이라는 게 그들의 근거다. 과학...
    2018-02-26 15:15
  • [왜냐면] 마음속 광장을 그리며 / 김윤철
    김윤철 서울시 동작구 상도동 입대하고 신병 때는 사회와 군대의 괴리에 적응하느라 정신이 없었습니다. 군 생활이 익숙해질 무렵에야 충격적인 사실에 눈떴습니다. 그 괴리가 ‘미필’이 본 허상일 뿐 존재한 적 없었다는 사실 말...
    2018-02-21 18:44
  • [왜냐면] 실패한 검찰개혁의 교훈 / 김희수
    김희수 법무법인 리우 변호사 대한민국 헌법 전문은 ‘정의·인도·동포애’를 헌법 가치로 제시하고 ‘모든 사회적 폐습과 불의를 타파’한다고 선언하고 있다. 현 정부의 적폐청산과 개혁이 헌법 정신에 기초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명...
    2018-02-21 18:44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