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광고

  • ‘꽃 피울 때’ 알려주는 식물 유전자 또 발견
    ‘꽃 피울 때’를 알리는 개화 조절 유전자가 국내 연구팀에 의해 추가로 발견됐다. 남홍길(사진) 포항공대 생명과학과 교수와 김정식 박사 연구팀은 25일 “식물의 ‘생체시계’를 관리해 꽃 ...
    2008-02-25 20:08
  • 고추 먹으면 덥고, 박하 먹으면 시원한 이유
    우리 몸은 열이 들어오면 덥다고 느끼고 열을 빼앗기면 춥다고 느끼며 불편해한다. 온도가 극단적으로 높아지거나 낮아질수록 비례해서 커지는 통증 감각은 온도 감각과 같은 것일까 별개일...
    2008-02-25 18:15
  • ‘불멸의 화가 반 고흐전’ 한국에 열리기까지
    태양과 빛, 영혼의 화가라고 불리는 반 고흐는 생전 지독한 가난에 시달렸다. 물감 살 돈도, 생활비도 없어 동생의 도움을 받았지만 그의 예술혼은 결코 꺾이지 않았다. 오히려 그는 “죽어서...
    2008-02-22 19:08
  • 세계 곳곳 개기월식 풍경
    대보름인 21일 세계 곳곳에서는 달과 지구, 태양이 일직선상에 위치하며 지구의 그림자가 달에 곂쳐지며 빛이 가리우는 개기월식이 일어났다. 다음 개기월식을 보기 위해서 2010년...
    2008-02-21 13:43
  • “제2의 지구를 찾아라” ‘행성 사냥’ 경쟁 후끈
    ‘외계행성 사냥꾼.’ 한정호 충북대 물리학과 교수(사진)는 태양계 밖의 망망한 우주 공간에서 눈에 뵈지도 않는 외계행성들을 찾는 일에 전념해 온 자신을 ‘행성 사냥꾼’으로 소개하는 데 ...
    2008-02-21 02:54
  • 외계행성 찾는 세 가지 관측방법
    가장 많이 쓰이는 건 중심별의 미세한 흔들거림을 관측하는 방법(그림①)이다. 거대 행성이 공전하면 행성의 중력 때문에 중심별도 조금은 흔들리게 마련이다. 투포환 선수가 포환을 돌릴 때 ...
    2008-02-21 02:59
  • “뇌연구원 실험실 “칸막이 없앤다”
    칸막이를 걷어낸 실험실에서 의학자와 생물학자, 철학자, 예술가가 뇌의 신비를 벗기기 위해 머리를 맞댄다. 연구자라면 누구나 꿈꿀 만한 이런 멋진 구상이 2012년 쯤 문을 열 국립 뇌연...
    2008-02-20 21:18
  • 숭례문 화재, 보고도 못 끈 이유
    2008년 2월 11일 새벽, 대한민국 국보1호 숭례문이 불로 무너졌다. 전날 오후 9시께 방화가 시작된 지 5시간만의 일이다. 중부소방서는 불이 난지 6분 만에 현장에 도착해 화재 초기에 불길...
    2008-02-20 19:29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