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검색
광고
전체보기
제목만 보기
사진기사 보기
RSS
도움말
‘종의 기원’ 150돌 앞두고 진화론-창조론 긴장고조
진화론을 배격하는 창조론 지지자들이 최근 창조과학을 다루는 과학저널을 창간하고, 과학계는 ‘2009년 진화론 150돌’을 기념할 채비에 나서면서, 지구촌에 과학과 종교의 긴장이 높아질 조...
2008-02-13 19:24
‘2월 과학기술자상’ 김선기 교수
우주 암흑물질의 정체를 연구하는 김선기(사진)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가 과학기술부와 과학재단이 주는 ‘이달의 과학기술자 상’ 2월 수상자로 선정됐다. 과기부는 13일 김 교수가 암흑...
2008-02-13 19:14
우리 김치·라면·수정과 ‘우주인 밥상’에 오른다
우리 김치와 라면이 400㎞ 상공 우주인들의 식탁에 오른다. 한국원자력연구원 이주운 박사 연구팀은 12일 식품공학 및 방사선 멸균 기술로 개발한 김치, 라면, 수정과, 생식(사진 왼쪽 위...
2008-02-12 20:22
배가 산을 넘으려면 □□가 필요하다
인간은 이미 1만년 전부터 수상운송을 시작했다. 강 위에 뗏목을 띄워 사람과 물건을 다른 장소로 이동한 뒤로 수상운송 기술은 끊임없이 발달했다. 인구 증가와 함께 수상운송량이 급속히 ...
2008-02-11 19:25
금관분교 과학반 ‘전국대회 우승 금관 썼시유’
산골 분교의 초등학생들이 전국 과학탐구대회에서 대상을 차지했다. 한국과학문화재단은 지난달 29~30일 전국 47개 팀이 참여한 가운데 열린 제7회 전국 과학탐구발표대회에서 충북 청원군...
2008-02-11 19:24
기억은 뇌에 저장된 ‘재고품’ 아닌
떠올릴 때마다 ‘리모델링 되는 것’
우리가 옛일을 떠올릴 때마다 ‘기억의 집’은 허물어졌다 다시 지어진다는 사실이 분자생물학 실험에서 밝혀졌다. 강봉균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기억제어연구단장) 연구팀은 9일 과거를 ...
2008-02-10 09:47
‘미 전자학회 석학회원’ 유회준 교수, ‘세계 최상위 0.1% 회원’ 최고 영예
카이스트(총장 서남표) 전자전산학과 유회준(47·사진) 교수가 미국 전기전자학회(IEEE)최고 영예인 석학회원(Fellow)에 선임됐다. 유 교수는 미국 샌프란시스코 메리어트호텔에서 4일 오전...
2008-02-05 19:27
위성도 생명연장의 꿈을 꾼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항우연)에서 제작해 지난 1999년에 발사한 다목적실용위성 아리랑1호가 ‘사망선고’를 받았다. 아리랑1호는 앞으로 최대 50년 동안 지구 궤도를 떠돌다가 대기권에 들어와...
2008-02-05 18:21
전체보기
제목만 보기
사진기사 보기
RSS
도움말
맨앞으로
이전으로
521
522
523
524
525
526
527
528
529
530
다음으로
맨뒤로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