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광고

  • 단ㆍ짠ㆍ신ㆍ쓴ㆍ맛 외에 제5의 맛?
    “식구가 뭐여, 같이 밥 먹는 입구멍이여.” 영화 ‘비열한 거리’에 나오는 명대사다. 사람 사이의 연을 확인하는 한솥밥처럼, 가족을 밥 먹는 입에 비유한 것이다. 입을 뜻하는 입구멍은 이 ...
    2007-12-12 18:13
  • 국내 연구진, 적색형광 복제고양이 생산
    국내 연구진이 유전자 조작과 체세포복제 기술을 이용해 자외선을 받으면 붉은 빛을 내는 형질전환 복제고양이를 생산하는 데 성공했다. 경상대 농생명학부 공일근 교수팀과 순천대 ...
    2007-12-12 14:15
  • 가장 작고 빠른 나노트랜지스터 개발
    서광석 서울대 전기컴퓨터공학부 교수 연구팀은 11일 나노소자특화팹센터와 함께 세계에서 가장 작고 빠른 15나노미터(nm), 610기가헤르츠(GHz)급의 갈륨비소계 나노트랜지스터(HEMT)를 개발...
    2007-12-11 19:01
  • 지구온난화 해법 금성에서 찾는다!
    지구에서 가장 밝은 천체는 단연 태양이고, 두 번째는 달이다. 그럼 세 번째는 뭘까? 답은 지구와 가장 가까운 행성인 금성(Venus)이다. 인류의 우주탐사가 시작된 이래 금성은 화성과 더불...
    2007-12-10 18:16
  • 날아라, 성냥 로켓!
    수은주가 영하로 뚝뚝 떨어진다 싶더니 벌써 크리스마스 시즌이다. 짠돌 씨는 온 거리를 물들인 일루미네이션 사이로 하얀 입김을 내뿜었다. 반짝이는 전구들이 화려하지만 마음이 어쩐지 허...
    2007-12-07 18:46
  • ‘올해 여성과학기술자상’ 김빛내리·손소영·정희선씨
    제7회 ‘올해의 여성과학기술자상’ 수상자로 김빛내리(왼쪽) 서울대 교수(생명과학부)와 손소영(가운데) 연세대 교수(정보산업공학), 정희선(오른쪽) 국립과학수사연구소 법과학부장이 선정...
    2007-12-06 19:10
  • ‘마이크로 거울’로 메가번개 정체 밝힌다
    반도체 물질인 실리콘 웨이퍼에다 가로·세로 0.3㎜ 크기의 ‘마이크로 거울’을 새긴다. 거울 하나하나에 가로·세로 축과 스프링을 달고 거울 판과 거울 밑판에 미세하게 음전하(-)나 양전하(+...
    2007-12-05 20:12
  • “계산과학, 단백질·나노 연구에 필수”
    기후 예측, 생물 진화부터 단백질 3차원 구조나 나노물질의 성질까지…. 과학이 갈수록 더 복잡한 세상을 다루면서 더욱 복잡해진 실험과 계산이 컴퓨터 안에서 이뤄진다. 이런 현대과학의 특...
    2007-12-05 20:10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