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광고

  • 미생물 ‘똥’에서 값진 나노튜브 건지다
    미생물로 폐수를 처리하는 환경공법을 연구하다가 뜻밖에 미생물의 분비물에서 값진 ‘나노튜브’ 물질을 찾아냈다. 허호길 광주과학기술원 교수와 이지훈 박사 연구팀은 ‘슈와넬라’라는 미...
    2007-11-27 18:56
  • ‘올해의 과학인’ 이지오 교수
    과학 보도를 맡는 과학 기자들이 뽑는 ‘올해의 과학인’으로 이지오(사진) 한국과학기술원 화학과 교수가 선정됐다고 27일 한국과학기자협회가 밝혔다. 이 교수는 새로운 단백질 분석기법으로...
    2007-11-27 18:49
  • 웹에 건설된 ‘미생물 공장’
    화장품 회사의 연구원인 한 박사는 실험실에 들어서자 컴퓨터의 전원부터 켰다. 새로 개발한 화장품에 포함된 상피세포성장인자(Epidermal Growth Factor, EGF)가 부작용을 일으키지는 않는...
    2007-11-26 18:12
  • 낚시뎐 - 다 비켜, 이 떡밥은 내 거야!
    먼 옛날, 울창한 숲 안에 모여 사는 동물 무리가 있으니 다리가 네 개인 놈, 다리 둘에 날개가 둘인 놈, 다리가 하나도 없는 놈 모두 자신의 재주가 뛰어나다 까불었다. 어느날 토끼와 범이 ...
    2007-11-23 17:52
  • 사람 피부세포로 줄기세포 배양 성공
    사람의 피부세포에서 배아줄기세포 못잖게 갖가지 세포로 분화하는 ‘다분화능 세포’를 얻어내는 새 방법이 미국과 일본에서 동시 발견됐다. 일본 교토대학 야마나카 신야 교수 연구팀과 미...
    2007-11-21 21:25
  • 모양·크기 같은 제올라이트 1g 얻어
    빛 가둘 ‘마이크로 건물’ 만들고 싶어
    제올라이트. 우리말로 ‘끓는 돌’이란 뜻이다. 이 돌은 물기도 없는데 불 속에선 수증기를 내뿜으며 끓기 때문에 18세기에 이런 이름이 붙었다고 한다. 왜 끓을까? “이 돌엔 1나노미터(10억...
    2007-11-21 19:52
  • 실험실 갈등 키우는 ‘칸막이 문화’걷어내야
    ‘황우석 교수의 연구부정 사건’이 있은 지 2년이다. 그동안 이 사건을 계기로 국내 과학계에서도 연구윤리에 대한 자각이 높아지고 ‘연구진실성위원회’ 같이 전에 없던 기구나 연구윤리 지침...
    2007-11-21 19:40
  • 노벨은 노벨상, 아벨은 아벨상!
    1823년 어느 날, 한 중학생이 수학 선생님에게 편지를 썼다. 장난꾸러기였던 그는 편지 맨 마지막 줄에 3√6064321219라는 괴상한 날짜를 적어 보내 수학 선생님을 난처하게 했다. 3√a은 세 ...
    2007-11-21 17:51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