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광고

  • 호르몬이 바뀌었다, 지지 후보가 바뀌었다
    흔히 그런 이야기들을 한다. 젊은 사람들은 진보적 성향이고, 나이 들면 보수적 성향일 것이라고. 상대적으로 변화와 도전에 익숙한 나이와 안정과 실리를 찾아가는 나이는 분명 있다. 그래...
    2016-03-25 20:43
  • 최소 유전자만 가진 ‘최소세포’ 합성
    미국 연구팀이 생명 유지에 필요한 최소한의 유전자만 지닌 ‘최소세포’(사진·미니멀 셀)를 합성하는 데 성공했다. 24일(현지시각) 과학저널 <사이언스>에 발표된 연구 결과를 보면, ...
    2016-03-25 08:37
  • 인공지능 소설 절반의 성공
    이제는 인공지능이 소설까지 쓰나?  구글의 인공지능 알파고와 바둑기사 이세돌의 대결로 인공지능(AI)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가운데, 일본에선 인공지능이 쓴 소설이 문학상의 1차 예심을...
    2016-03-22 08:39
  • ‘파스처럼 피부 부착’ 혈당조절 기술 개발
    국내 연구팀이 파스처럼 피부에 붙여 땀으로 혈당을 측정하고 치료 약물까지 주입할 수 있는 ‘당뇨 전자 패치’ 기술을 개발했다. 3~4년 안에 실용화하면 매일 주사로 혈당을 재야 하는 당뇨...
    2016-03-22 01:00
  • 피자배달 로봇 첫선
    로봇의 등장으로 사라지는 일자리에 피자 배달원도 포함시켜야 할까? 배달 드론에 이어 배달 로봇까지 모습을 드러냈다. 도미노피자 오스트레일리아 법인은 세계 처음으로 피자 배달용 로...
    2016-03-21 09:31
  • 부모가 알레르기면 자식도?
    부모가 알레르기면 자식도? 알레르기는 면역글로불린-E(IgE)가 오리나무 꽃가루 등 특정 알레르기 항원에 오인 반응해 생긴다. 따라서 주변 환경에 의해 발생하는 환경성 질환이지만 많은 ...
    2016-03-20 20:22
  • 봄, 꽃보다 알레르기…지구온난화로 더 ‘간질간질’
    봄철의 불청객은 꽃샘추위만이 아니다. 꽃가루 알레르기에 민감한 이들에게 봄은 ‘잔인한 계절’이다. 우리나라의 알레르기 환자는 1980년대 초만 해도 5% 정도에 불과했으나, 90년대 후반에...
    2016-03-20 20:20
  • 외계 지적생명체의 전파까지 찾아라
    ▶ 맨눈으로 별을 보던 인류는 갈릴레오 갈릴레이 이후 망원경을 거친 가시광선으로 우주를 관측했다. 오늘날 천문학의 눈부신 발전은 20세기 중반 시작된 전파천문학의 발달에 힘입었다. 전...
    2016-03-18 20:10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