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광고

  • 30만년 전 구석기인의 기술 혁신
    구석기 시대에 석기 제작의 혁신 기술은 한 집단이 아니라 여러 집단에서 따로 발전했음을 보여주는 새로운 고고학 유물이 발굴됐다. 그동안 주먹도끼 같은 투박한 석기에서 좀 더 정교한 석...
    2014-09-30 19:29
  • 3년만에 찾아온 ‘붉은달 쇼’ 개기월식
    가을이 성큼 다가선 계절에 개기월식이 3년 만에 찾아온다.  한국천문연구원은 30일 “다음달 8일 달이 지구의 그림자에 가려지는 개기월식 현상이 일어난다”고 밝혔다. 이번 월식은 달이 ...
    2014-09-30 11:14
  • 눈이 뒤통수에도 있다면, 손가락 끝에 있다면…
    ▶ 하리하라. 본명 이은희. 생물학을 전공해 연구원으로 사회생활을 시작했으나, 우연히 인터넷 블로그에 썼던 글들이 <하리하라의 생물학 카페> 등 책으로 묶여 나오면서 과학언론학으...
    2014-09-26 20:15
  • 극지연구소 ‘남극대구’ 유전자 염기서열 해독 성공
    한국해양과학기술원 극지연구소가 주도한 국제 연구팀이 남극의 대표 어종인 남극대구(사진) 의 전체 유전자 염기서열을 해독·분석하는데 성공했다. 이제까지 생물 유전체 분석은 인간과 소,...
    2014-09-26 15:36
  • 휘어지는 투명 가스센서 개발…창문·안경에 부착 가능
    국내 연구진이 가스센서와 히터를 하나의 그래핀 소자에 적용한 투명하고 휘어지는 센서를 처음 개발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그래핀소자창의연구센터(센터장 최춘기) 연구팀은 21일 그래...
    2014-09-21 16:06
  • 우주 구경 6분하는데 2억5000만원? 근데 줄섰다고?
    ▶ 2억5000만원만 내면 6분간 우주여행을 할 수 있다고 합니다. 하시겠습니까? 최초의 상업 우주여행인 버진갤럭틱 이야기입니다. 인간이 처음 우주에 간 지 50여년이 지났습니다. 하지만 우...
    2014-09-19 20:02
  • KAIST, ‘슈퍼렌즈’로 초미세 물체 관찰 성공
    국내 연구진이 세포 속 단백질처럼 너무 작아서 광학현미경으로도 볼 수 없는 100나노미터(㎚·1㎚는 10억분의 1m) 크기의 이미지를 페인트 스프레이를 이용한 ‘슈퍼렌즈’로 촬영하는 데 성공...
    2014-09-17 16:54
  • 욕조에서 외친 ‘유레카!’…몸이 쉴 때도 뇌는 분주하다
    추석 연휴가 끝난 지 일주일이 지났다. 예년과 달리 추석이 일러 그럴까? 올해 추석은 가을의 시작보다는 휴가철을 마무리하는 여름의 끝처럼 다가왔다. 많은 이들이 일터를 떠나 가족 친지...
    2014-09-16 19:19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