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광고

  • 눈이 뒤통수에도 있다면, 손가락 끝에 있다면…
    ▶ 하리하라. 본명 이은희. 생물학을 전공해 연구원으로 사회생활을 시작했으나, 우연히 인터넷 블로그에 썼던 글들이 <하리하라의 생물학 카페> 등 책으로 묶여 나오면서 과학언론학으...
    2014-09-26 20:15
  • 극지연구소 ‘남극대구’ 유전자 염기서열 해독 성공
    한국해양과학기술원 극지연구소가 주도한 국제 연구팀이 남극의 대표 어종인 남극대구(사진) 의 전체 유전자 염기서열을 해독·분석하는데 성공했다. 이제까지 생물 유전체 분석은 인간과 소,...
    2014-09-26 15:36
  • 유룡 기초과학연 단장, 노벨 화학상 예측후보에
    유룡(59·사진) 기초과학연구원 단장이 올해 노벨 화학상 수상 예측 인물로 선정됐다. 기초과학연구원(IBS·원장 김두철)은 25일 “해마다 ‘올해의 노벨상 수상 예측 인물’을 발표하는 톰슨로이터가 이날 발표한 ‘2014년 노벨 화학상 ...
    2014-09-25 13:44
  • 한국인, 올해 ‘노벨 화학상 수상자’로 예측돼
    유룡(59) 기초과학연구원 단장이 올해 노벨 화학상 수상 예측 인물로 선정됐다. 기초과학연구원(IBS·원장 김두철)은 25일 “해마다 ‘올해의 노벨상 수상 예측 인물’을 선정해 발표하는 ‘톰슨로이터’가 이날 발표한 2014년 노벨 화학상...
    2014-09-25 13:01
  • 출산과 재임신 간격이 1년미만이면, 자폐아 출생위험이 높아진다
    출산 후 재임신 사이의 시간 간격이 1년 미만이거나 5년 이상이면 자폐아가 출생할 위험이 높아진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컬럼비아 대학의 앨런 브라운 박사가 1987-2005년 사이에 핀란드에서 태어난 아이들 7천371명의 자료를...
    2014-09-25 11:12
  • 휘어지는 투명 가스센서 개발…창문·안경에 부착 가능
    국내 연구진이 가스센서와 히터를 하나의 그래핀 소자에 적용한 투명하고 휘어지는 센서를 처음 개발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그래핀소자창의연구센터(센터장 최춘기) 연구팀은 21일 그래...
    2014-09-21 16:06
  • 이발한 과학연구로 상 받은 이들, 누구?
    코피를 흘리는 어린이의 콧구멍에 돼지고기 조각을 넣으면 코피를 멈출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한 미국 연구진 등이 올해 ‘이그노벨상’(Ig Nobel Prize) 수상자로 선정됐다. 올해로 24회를 맞은 이그노벨상은 미국 하버드대 과...
    2014-09-19 21:13
  • 우주 구경 6분하는데 2억5000만원? 근데 줄섰다고?
    ▶ 2억5000만원만 내면 6분간 우주여행을 할 수 있다고 합니다. 하시겠습니까? 최초의 상업 우주여행인 버진갤럭틱 이야기입니다. 인간이 처음 우주에 간 지 50여년이 지났습니다. 하지만 우...
    2014-09-19 20:02
  • KAIST, ‘슈퍼렌즈’로 초미세 물체 관찰 성공
    국내 연구진이 세포 속 단백질처럼 너무 작아서 광학현미경으로도 볼 수 없는 100나노미터(㎚·1㎚는 10억분의 1m) 크기의 이미지를 페인트 스프레이를 이용한 ‘슈퍼렌즈’로 촬영하는 데 성공...
    2014-09-17 16:54
  • 욕조에서 외친 ‘유레카!’…몸이 쉴 때도 뇌는 분주하다
    추석 연휴가 끝난 지 일주일이 지났다. 예년과 달리 추석이 일러 그럴까? 올해 추석은 가을의 시작보다는 휴가철을 마무리하는 여름의 끝처럼 다가왔다. 많은 이들이 일터를 떠나 가족 친지...
    2014-09-16 19:19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