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광고

  • 이소연씨 막바지 훈련
    한국 최초의 우주인으로 선정된 이소연, 러시아 우주인 세르게이 볼코프, 올레크 코노넨코(왼쪽부터)가 러시아 우주훈련센터에서 훈련 중 악수를 하고 있다. 모스크바/AP 연합
    2008-03-18 22:09
  • 우주로봇의 손가락은 일곱 마디!?
    스푸트니크 1호가 우주개발의 신호탄을 올린 지 50년이 지났다. 미지의 영역이었던 우주를 이해하고 탐사하기 위한 여러 기술도 끊임없이 발전했다. 우주 공간은 생명체가 살 수 없는 위험천...
    2008-03-17 18:04
  • “우리 서로 사랑하게 해 주세요” 공생 이야기
    생물계는 따로 존재하는 것이 없다. 서로 더불어 한 코, 한 땀 얽혀 산다. 말 그대로 상생하며 공생한다. 공생(symbiosis)이란 ‘서로 다른 종의 생물이 생리적ㆍ행동적으로 이익을 주고받으...
    2008-03-14 19:06
  • “불로약은 없었다”…카이스트 ‘논문조작’ 확인
    “불로약은 없었다.” 획기적인 신약개발 원천기술로 불린 이른바 ‘매직기술’에 관한 김태국 교수 연구팀의 논문 조작 사건을 조사 중인 카이스트 연구진실성위원회(위원장 양현승 연구처장)...
    2008-03-13 21:29
  • 당신이 지금 무엇을 보는지 알 수 있는 ‘마음 읽는 기계’ 등장
    미 갤런트 교수팀 ‘뇌 읽는 장치’ 논문 발표뇌활동 패턴 따라 실험자 인식물 파악 연구“신비에 싸였던 뇌·마음 연구에 활용” 기대 “(뇌에서 일어나는) 남의 시각 경험을 언제라도 필...
    2008-03-13 14:34
  • [이순간] 탐라 전파망원경 시험 가동
    12일 새벽 제주도 서귀포 하늘에서 북극성을 중심으로 궤적을 그리며 돌고 있는 별들을 향해 지름 21m 크기의 접시안테나가 우뚝 솟아 있다. 서울 연세대-울산 울산대-제주 탐라대를 삼각으...
    2008-03-13 10:09
  • 네이처, 노벨상 수상자 논문 취소 파문
    지난달 말 <사이언스>에 실린 김태국 카이스트 교수의 2005년 논문에 결함이 발견된 데 이어, 이번엔 <네이처>가 노벨상 수상자의 논문에서 결함이 확인됐다며 논문을 취소하는 ...
    2008-03-12 20:41
  • 동양인은 ‘배경’-서양인은 ‘대상’을 본다
    다른 문화권에 사는 동양인과 서양인은 같은 장면도 다른 방식으로 바라본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존 가브리엘 미국 매서추세츠공대 교수 연구팀은 최근 뇌 영상(fMRI)을 이용한 심리학 실...
    2008-03-12 20:40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