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광고

  • 포스트 교토의정서 놓고 선진-개도국 대립
    기후변화 문제는 1979년 5월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제1차 세계기후회의에서 처음 국제사회에 공식 의제로 던져졌지만, 국제사회의 대응은 매우 느리게 진행됐다. 국제사회는 기후변화를 ...
    2007-02-02 18:41
  • 우리나라 남극서 첫 운석 발견
    우리나라가 남극에서 처음으로 운석을 찾아냈다. 태양계 생성 초기에 만들어진 운석은 지구의 역사와 우주탄생의 비밀을 밝히는 데 중요한 연구자료로 쓰인다. 2일 한국해양연구원...
    2007-02-02 17:35
  • 빙빙 돌며 나는 3D 입체연
    “아빠! 엄마 언제 와요?” “엄마는 내일 오셔. 이모랑 같이 외할머니 모시고 제주도 가셨잖니.” “우린 왜 안 데리고 갔어요?” “음. 엄마의 엄마인 외할머니가 올해 환갑이시거든. 그래...
    2007-02-02 16:40
  • 에디슨 그늘에 가린 빛나는 천재, 테슬라
    미국의 주간지 ‘라이프 매거진’은 20세기 가장 영향력 있는 100인 중의 한 사람으로 니콜라 테슬라(Nikola Tesla)를 꼽았다. 이보다 앞서 2005년 말 크로아티아는 테슬라 탄생 150주년을 맞...
    2007-01-31 16:49
  • ‘잘못되면 조상 탓’ 과학적 증명?
    전통풍수를 과학적 이론으로 뒷받침한 국내 첫 공학박사가 탄생한다. 영남대 대학원 응용전자학과 박사과정에 재학 중인 박채양(49·대구도시개발공사 부장·왼쪽)씨와 최주대(57·경상북도 ...
    2007-01-30 20:21
  • 온난화 속도에 밀려 ‘남한 숲’ 쇠퇴한다
    남한 산림의 절반 이상이 앞으로 닥칠 지구 온난화에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후 변화에 따른 나무의 이동 속도보다 온난화의 북상 속도가 빨라서 벌어지는 현상으로, 광범한 숲의...
    2007-01-29 19:12
  • 식물은 우주에서 어떻게 자랄까?
    지난 12월 19일 한국 최초의 우주인이 국제우주정거장(ISS)에서 수행할 18가지의 우주과학실험이 정해졌다. 그중 하나는 우주에서 식물이 어떻게 자라는지를 관찰하는 실험이다. 식물이 자라...
    2007-01-29 16:59
  • 과학계도 ‘여성파워’ 넘친다
    김하나 박사, 염증단백질 밝혀 미국에 있는 한국 여성 과학자가 염증이 암 발생을 촉진하는 원리의 일부를 규명해 논문이 저명 학술지 〈셀〉에 실렸다. 미국 샌디에이고 캘리포니아대 화...
    2007-01-28 21:05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